해결 안된 질문

프레임크기와 속도의 관계가 큰가요?
추천 수 ( 0 )제 키가 162정도입니다. 정확하게 재본건 아니지만 오늘 다시 재보니 그정도더군요.
오늘 샵에 가서 몇가지 MTB를 보고 왔습니다. 초보라서 아는게 없지만요.
게리피셔 후쿠에쿠제품을 보고 왔는데요. 프레임크기가 13인치, 15.5, 17인치 뭐 이런식이더군요. 전 13인치를 타는게 맞다구 하더군요..제가 타봐도 15.5는 부담스럽던데요.
탑튜브가 길다는 얘기를 여기서 열심히 보고 가서 그런지 막상 가서 봐도 괜히 더 길게 느껴지는것 같더군요.^^
근데 프레임크기와 속도와 큰 관계가 있나요? 13인치나 20인치나..이게 바퀴 사이즈를 말하는게 아니고 프레임크기를 말하는거 아닌가요? 게시판을 읽다보니 13인치 프레임은 아무리 굴러도 안나간다고 하신분들이 있는데 ...그게 맞나요??
그리고 입문자에게 디스크브레이크는 추천하지 않는다는 글도 본거 같은데요..
이건 왜 그런지요.
이제 입문해보려구 하는데...많은 도움 주세요..
오늘 샵에 가서 몇가지 MTB를 보고 왔습니다. 초보라서 아는게 없지만요.
게리피셔 후쿠에쿠제품을 보고 왔는데요. 프레임크기가 13인치, 15.5, 17인치 뭐 이런식이더군요. 전 13인치를 타는게 맞다구 하더군요..제가 타봐도 15.5는 부담스럽던데요.
탑튜브가 길다는 얘기를 여기서 열심히 보고 가서 그런지 막상 가서 봐도 괜히 더 길게 느껴지는것 같더군요.^^
근데 프레임크기와 속도와 큰 관계가 있나요? 13인치나 20인치나..이게 바퀴 사이즈를 말하는게 아니고 프레임크기를 말하는거 아닌가요? 게시판을 읽다보니 13인치 프레임은 아무리 굴러도 안나간다고 하신분들이 있는데 ...그게 맞나요??
그리고 입문자에게 디스크브레이크는 추천하지 않는다는 글도 본거 같은데요..
이건 왜 그런지요.
이제 입문해보려구 하는데...많은 도움 주세요..
답변 (7)

휠베이스(바퀴사이의 거리)가 길수록 직진성이 향상되어 속도 유지가 쉬운건 사실입니만 짧다고 아무리 굴려도 안 나가는건 절대 아닙니다. 잘 되면 내탓이고 못 되면 조상탓이라고 엔진이 부실한가보죠.
게리피셔의 프레임들이 타회사의 같은 사이즈 프레임에 비해 휠베이스가 긴 편입니다.
13인치라고 해도 타회사 15.5나 16인치보다 길거나 같은 수준이니 직진성면에서 만족하실겁니다.
제동은 앞브레이크로 하는 것입니다. 뒷브레이크 전혀 사용안하고도 산에서 별 지장없이 내려올 수준이 되었을때 림브레이크가 내 수준에 못 미친다라고 생각되면 업글해도 전혀 지장없습니다.
브레이킹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없이 디스크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너무 민감해서 전복의 위험이 많아 앞브레이크 사용법을 익히기가 힘듭니다. 특히나 초보의 경우 돌발 상황에서 브레이크를 무심코 꽉 잡게 되는데 그럴 경우 거의 100% 앞으로 고꾸라 지게되고요. (림브레이크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만 훨씬 정도가 덜합니다.) 그러한 경험이 있게 되면 그 다음부턴 앞브레이크의 사용을 꺼리게 됩니다. 웨잇백과 더불어 앞브레이크로 제동을 하는게 훨씬 확실하고 안전함에도 불구하고 뒷브레이크 잡아서 슬립일어나는 별로 달갑지 않고 더 위험한 상태를 더 안전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넘쳐나는 MTB인구에 비해서 브레이크 제대로 잡을줄 아는 사람이 극소수라는건 참 아이러니입니다. 자신의 경험을 절대적인 사실인양 판단하는게 문제입니다. 림브레이크를 사용했더니 이러이러한 점이 단점이구나라고 느껴지면 아 그러니 디스크 브레이크로 가야지가 아니고 그 단점을 극복할수 있는 길은 없는지 찾아보고 과연 단점인것인지 아니면 테크닉의 부족이나 잘못된 지식으로 인한것인지 먼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별로 신뢰성을 가지기 힘든 단편적인 경험이 카더라 식의 소문과 맞물려 SEV같은 제품을 지지하는 사람이 있고 허브나 프레임등등에 대한 웃기지도 않는 판타지 소설이 존재하게 되는 이유입니다. 하나의 실험적 사실을 도출해 내기 위한 선행조건이 얼마나 까다롭고 다른 팩터를을 얼마나 잘 제어해야 하는지는 랩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분들은 잘 아실겁니다.
잘 나가다가 삼천포로 빠졌네요. -.- 디스크... 잘 사용하면 좋은건 틀림없습니다만 남들 다 쓴다고 따라 쓸 이유도 전혀 없습니다. 저의 경우 디스크 브레이크를 안 쓰는 건 디스크 사용자중에 저보다 빨리 다운힐 하는 사람을 본적이 별로 없고 저보다 빠른 사람들은 죄다 림브레이크로 아무 불편 없이 사용한다는 좀 웃기는 이유입니다.
게리피셔의 프레임들이 타회사의 같은 사이즈 프레임에 비해 휠베이스가 긴 편입니다.
13인치라고 해도 타회사 15.5나 16인치보다 길거나 같은 수준이니 직진성면에서 만족하실겁니다.
제동은 앞브레이크로 하는 것입니다. 뒷브레이크 전혀 사용안하고도 산에서 별 지장없이 내려올 수준이 되었을때 림브레이크가 내 수준에 못 미친다라고 생각되면 업글해도 전혀 지장없습니다.
브레이킹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없이 디스크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너무 민감해서 전복의 위험이 많아 앞브레이크 사용법을 익히기가 힘듭니다. 특히나 초보의 경우 돌발 상황에서 브레이크를 무심코 꽉 잡게 되는데 그럴 경우 거의 100% 앞으로 고꾸라 지게되고요. (림브레이크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만 훨씬 정도가 덜합니다.) 그러한 경험이 있게 되면 그 다음부턴 앞브레이크의 사용을 꺼리게 됩니다. 웨잇백과 더불어 앞브레이크로 제동을 하는게 훨씬 확실하고 안전함에도 불구하고 뒷브레이크 잡아서 슬립일어나는 별로 달갑지 않고 더 위험한 상태를 더 안전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넘쳐나는 MTB인구에 비해서 브레이크 제대로 잡을줄 아는 사람이 극소수라는건 참 아이러니입니다. 자신의 경험을 절대적인 사실인양 판단하는게 문제입니다. 림브레이크를 사용했더니 이러이러한 점이 단점이구나라고 느껴지면 아 그러니 디스크 브레이크로 가야지가 아니고 그 단점을 극복할수 있는 길은 없는지 찾아보고 과연 단점인것인지 아니면 테크닉의 부족이나 잘못된 지식으로 인한것인지 먼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별로 신뢰성을 가지기 힘든 단편적인 경험이 카더라 식의 소문과 맞물려 SEV같은 제품을 지지하는 사람이 있고 허브나 프레임등등에 대한 웃기지도 않는 판타지 소설이 존재하게 되는 이유입니다. 하나의 실험적 사실을 도출해 내기 위한 선행조건이 얼마나 까다롭고 다른 팩터를을 얼마나 잘 제어해야 하는지는 랩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분들은 잘 아실겁니다.
잘 나가다가 삼천포로 빠졌네요. -.- 디스크... 잘 사용하면 좋은건 틀림없습니다만 남들 다 쓴다고 따라 쓸 이유도 전혀 없습니다. 저의 경우 디스크 브레이크를 안 쓰는 건 디스크 사용자중에 저보다 빨리 다운힐 하는 사람을 본적이 별로 없고 저보다 빠른 사람들은 죄다 림브레이크로 아무 불편 없이 사용한다는 좀 웃기는 이유입니다.

자동차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뭐 abs가 보편화되어 나아지긴했지만요 브렉킹시 록 싯점에 대한 감각도 있어야겠죠 록 싯점에서 살짝 풀었다가 다시잡아주는 식의...그리고 돌발상황시 브렉에만 의존해야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핸들링으로 회피할 수 있답니다 두 말 필요없이 회피의 수단으로는 핸들링이 유용하지요 반응도 즉각이고요 하지만 회피할 상황이 되는되도 불구하고 매번 브렉에 의존할 경우는 덤블링묘기를 한다던지하는 경험을 하시게 되지요 그리고 브렉의 경우 엄연히 제동거리가 존재하기에 즉각적인 회피의 수단으로는 부족하지요 가장 중요한 것은 장비에 대한 의존보다는 라이더 자신의 마음가짐이 젤 중요하겠지요 이미지트레이닝도 퍽 도움이 되고요 항상 미리 감속하고 익숙치 않는 곳에서는 속도를 줄이시고 등등 전 자동차 레이싱쪽인데 실제 자동차 사고의 경우 핸들링으로 충분히 피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의식과 훈련이 안되어 있기에 끼이익 꽝하는 경험을 하게 되지요 딴힐시 빨리 내려오는 것보다 더 중요한건 안전에 대한 자각이 아닐까합니다 무모한 라이딩은 자칫 큰 것을 잃을 수도 있고 장비가 아무리 발달되어도 그런 위험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주지는 못 할 것 입니다 안전 라이딩하시길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