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답변 (10)

어느 회사 잔차인가요? 고것도 알려주셔야 도움이 되죠^^ 저가 알기로는 도장전에 부식방지 처리를 하는 걸로 압니다 근데 도장막 내부에서 부식이 진행되었다면 이건 그 회사의 기술부족이던지 아님 하자겠죠 참고로 자동차가지고 게신 분들 세차장에 가서 휠 세척한답시고 일명pb 1 이라고하는 세척제를 뿌리는 경우가 있는데 휠 곱게 보존하실려면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그것 사용하면 휠의 피막에 침투되어 계속 부식이 진행됩니다 크롬도금 휠도 마찬가지고요 그리고 환경에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일부 간편 세척물수건에도 pb1성분이 함유된 제품도 있더군요 참나!

알루미늄은 산화피막으로 인해 일반 환경에서는 부식이 잘 않되지만 알카리에는 부식이 잘 됩니다. 그리고 알루미늄의 산화피막은 도막의 부착성을 현저히 떨어뜨리기 때문에 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색 전에 비철금속용 프라이머를 칠하거나 이노다이징을 합니다. 그런데 이노다이징도 상당히 이뿌기 때문에 자전거에는 이노다이징을 한후 다시 도색을 하는 경우는 없지요. 또한 생산비용도 몆갑절 들고요.
프레임 사용기간이 얼마나 됐는지는 모르겠지만 알루미늄프레임 부식에 의한 가는성은 별루 없구요 . 아마 도색하기전에 하는 전처리 과정을 개판으로 해서 그런걸겁니다. 아니면 프레임이 아닌 도막자체의 부식에 의한 것일 거구요.
어떤 일본회사 제품은, 지금은 미국꺼군요, 한때 유저였는데...
수십만원 짜리 프레임을 프라이머나 아노다이징도 않하고 걍 뺑끼칠해놔버려서 한달도 않되서 케이블 마찰로 프레임 속살이 훤히 보였었죠.
프레임 사용기간이 얼마나 됐는지는 모르겠지만 알루미늄프레임 부식에 의한 가는성은 별루 없구요 . 아마 도색하기전에 하는 전처리 과정을 개판으로 해서 그런걸겁니다. 아니면 프레임이 아닌 도막자체의 부식에 의한 것일 거구요.
어떤 일본회사 제품은, 지금은 미국꺼군요, 한때 유저였는데...
수십만원 짜리 프레임을 프라이머나 아노다이징도 않하고 걍 뺑끼칠해놔버려서 한달도 않되서 케이블 마찰로 프레임 속살이 훤히 보였었죠.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