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카본 프램이여...
추천 수 ( 0 )검색해 보니깐 카본 프램이 다들 약하다구하시는데....실질적으로 깨지신
분들은 거의 없는것 같습니다....
카본 쓰신분들 경험들 듣구 싶습니다...
분들은 거의 없는것 같습니다....
카본 쓰신분들 경험들 듣구 싶습니다...
답변 (9)

아~카본....카본은 원소번호 6 질량수12 탄소가 영어로 카본이죠.다이아몬드도 카본,흑연도카본..현재 자전거에 사용하고 있는 카본은 정확하게 "카본/에폭시 복합재료" CFRP입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프리커스로 2000도 이상에서 산화를 막기위해 질소가스를 넣고 탄화시키면 흔히 말하는 카본섬유가 나옵니다. 이 카본섬유를 제직하거나 일방향으로 에폭시 수지에 함침 시켜서 반 건조시킨것이 카본 프리프레그인데...이 프리프레그를 몰드에 넣고 적당한온도와 압력에서 구워내면 제품이 완성됩니다.
그럼 금속과 어떻게 다른지..알아보겠습니다.
에폭시수지 비중이1.4 카본섬유 비중이1.8이니까..알루미늄보다 가볍고 강한 복합재료가 완성되죠.
요즘 항공기재료의 50%이상을 듀랄루민6061이나 7005를 사용하지 않고 복합재료를 사용합니다. 왜냐면 무게비 강도와 탄성률이 월등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왜 카본프렘(CFRP)가 약하다는 말이 나왔을까요?
금속은 수직강도에 접하면 찌그러지지만 형상을 유지합니다. 카본프레임은 돌이나 뾰족한곳에 찍히면 찌그러지는것이 아니라 깨져버리는 것이죠.그렇다고 부러져버리는 것은 아닙니다.
가끔 큰 충격으로 프레임이 깨졌거나 찍힌것이 보입니다. 조금만 보강하면 못타고 다닐 정도는 아닙니다.
약하다는 소문은.....
주위에 들은 사실을 확인도 안하고 진실처럼 굳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특히 자전거 프레임 분야가 그렇습니다.
알루미늄 6061 T6랑 7005 실제적인 강도와 탄성률,강성,피로, 비교해보신분 별로 없을 겁니다. 전 눈으로 확인 했습니다. 제가 직접 UTM장비에서 시험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왈바에서 알려진 진실과는 많이 다릅니다. 물론 프레임구조와 직경에 따라 재료의 특성이 결정되기도 하지만...
6061 T6을 탔더니 탄성이 좋아서 쭉쭉 뻗더라 이런소문들 말입니다. 그렇다고 카본이 무조건 좋은것이 아닙니다.이방성 소재라서 금속보다 만드는공정에서 변수가 너무 많아서 제품의 품질이 안좋은 회사라면 문제가 많이 생기는 소재입니다.
참고로 전 카본 제품 사용 잘안합니다.
*어릴때 애들이랑 사건의 진실에 대해서 막 싸우다가 "어디서 봤어?"하고 물어보면 "TV에 나왔더라" 하면 조용해지는것 처럼 "왈바에서 그러더라" 이말에 자전거에 대한 모든 진리가 결정 되지 않았음 좋겠습니다.
정확한 정보 공유가 MTB를 발전시킬수 있다는 초복날 저녁 생각입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프리커스로 2000도 이상에서 산화를 막기위해 질소가스를 넣고 탄화시키면 흔히 말하는 카본섬유가 나옵니다. 이 카본섬유를 제직하거나 일방향으로 에폭시 수지에 함침 시켜서 반 건조시킨것이 카본 프리프레그인데...이 프리프레그를 몰드에 넣고 적당한온도와 압력에서 구워내면 제품이 완성됩니다.
그럼 금속과 어떻게 다른지..알아보겠습니다.
에폭시수지 비중이1.4 카본섬유 비중이1.8이니까..알루미늄보다 가볍고 강한 복합재료가 완성되죠.
요즘 항공기재료의 50%이상을 듀랄루민6061이나 7005를 사용하지 않고 복합재료를 사용합니다. 왜냐면 무게비 강도와 탄성률이 월등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왜 카본프렘(CFRP)가 약하다는 말이 나왔을까요?
금속은 수직강도에 접하면 찌그러지지만 형상을 유지합니다. 카본프레임은 돌이나 뾰족한곳에 찍히면 찌그러지는것이 아니라 깨져버리는 것이죠.그렇다고 부러져버리는 것은 아닙니다.
가끔 큰 충격으로 프레임이 깨졌거나 찍힌것이 보입니다. 조금만 보강하면 못타고 다닐 정도는 아닙니다.
약하다는 소문은.....
주위에 들은 사실을 확인도 안하고 진실처럼 굳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특히 자전거 프레임 분야가 그렇습니다.
알루미늄 6061 T6랑 7005 실제적인 강도와 탄성률,강성,피로, 비교해보신분 별로 없을 겁니다. 전 눈으로 확인 했습니다. 제가 직접 UTM장비에서 시험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왈바에서 알려진 진실과는 많이 다릅니다. 물론 프레임구조와 직경에 따라 재료의 특성이 결정되기도 하지만...
6061 T6을 탔더니 탄성이 좋아서 쭉쭉 뻗더라 이런소문들 말입니다. 그렇다고 카본이 무조건 좋은것이 아닙니다.이방성 소재라서 금속보다 만드는공정에서 변수가 너무 많아서 제품의 품질이 안좋은 회사라면 문제가 많이 생기는 소재입니다.
참고로 전 카본 제품 사용 잘안합니다.
*어릴때 애들이랑 사건의 진실에 대해서 막 싸우다가 "어디서 봤어?"하고 물어보면 "TV에 나왔더라" 하면 조용해지는것 처럼 "왈바에서 그러더라" 이말에 자전거에 대한 모든 진리가 결정 되지 않았음 좋겠습니다.
정확한 정보 공유가 MTB를 발전시킬수 있다는 초복날 저녁 생각입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