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샥에 관한 질문입니다. 공기의 반발력이라고 해야하나요-_-흠
추천 수 ( 0 )앞샥에 오일을 갈았습니다
170mm 더블크라운이죠
스프링오일샥입니다.
그런데 스프링을 빼고 뚜껑을 닫고 작업을 해보니 에어가차서 꼭
에어샥처럼 공기 스프링처럼 작용하는군요
스프링없이도 마치 지가 스프링인냥...
내부의 공기를 일정량 제거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예전에 메카닉 형한테 들었는데 약간은 뺄수가 있다고 하던디... 궁궁합니다 -0-
항간에는 질소개스를 충전한다던데말이죠.
170mm 더블크라운이죠
스프링오일샥입니다.
그런데 스프링을 빼고 뚜껑을 닫고 작업을 해보니 에어가차서 꼭
에어샥처럼 공기 스프링처럼 작용하는군요
스프링없이도 마치 지가 스프링인냥...
내부의 공기를 일정량 제거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예전에 메카닉 형한테 들었는데 약간은 뺄수가 있다고 하던디... 궁궁합니다 -0-
항간에는 질소개스를 충전한다던데말이죠.
답변 (4)

마조키 수퍼T죠? 마조키 서스펜션의 탑캡은 300PSI 까지 버티는 높은 그레이드의 실링입니다. 그래서 스탠션 내부에 공기가 스프링 역할을 하여, 서스펜션의 '점진적(progressive)인 성격'을 부여합니다. 즉, 트래블의 중간부분까지는 매우 부드러우면서도, 큰 충격을 받았을 때 트래블의 끝부분에서 급격히 단단해지면서 충격을 받아주고 버텀아웃을 방지합니다. 바꾸어 말해, 이 공기가 없다면 쉽게 버텀아웃이 됩니다. 그리고 그 점진적인 정도는 오일레벨을 조절하여 스탠션 안에 갇힌 에어의 볼륨을 줄이거나 늘임으로써 설정할 수 있습니다. 어찌 보면, 부분적으로 에어 서스펜션이기도 한 셈이죠. 참고로, 쉬버 DC의 경우는 에어를 제거(burp)하기 위한 자그마한 나사가 탑캡에 별도로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쉬버는 USD 디자인이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고, 일반적인 포크와는 별개의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위에 기술한 에어 스프링, 오일레벨에 관한 이야기는 기타 오픈배스(open-bath) 방식이 아닌 포크(예를 들어, 모든 마니또 포크)에는 전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_^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