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타이어 적정 압력..
추천 수 ( 0 )압력계가 달려 있는 펌프입니다...
검색후 결과대로 적정 압력대로 넣었는데....
영... 의심스러워서.. 질문해봅니다...
타이어를 손가락으로 약간 힘들게 누르면 살짝 눌러지는 정도인데...
어느 정도가 되야 적당한지요...
로드용입니다만..
검색후 결과대로 적정 압력대로 넣었는데....
영... 의심스러워서.. 질문해봅니다...
타이어를 손가락으로 약간 힘들게 누르면 살짝 눌러지는 정도인데...
어느 정도가 되야 적당한지요...
로드용입니다만..
답변 (10)
정해진 타이어 압력은 없습니다..매뉴얼에서조차 압력을 정해놓진 않습니다..다만 범위를 설정해두는거죠..이압력이하에선 펑크가 잦고..이압력 이상에선 튜브가 터진다...그런셈이죠..보통45~60PSI 정도 넣습니다만..노면에 따라..혹은 라이딩스타일에 따라..압력은 저 범위 안에서 조절하심 됩니다..참고로 압력이 적으면 접지면적이 넓어져..접지력이 뛰어나지만..자전거가 잘 안나가죠..반대로 압력이 크면..접지면적이 좁아지므로 당연히 쭉쭉 나가게 됩니다..접지력은 좀 떨어지게 되죠...전..딴딴하게 넣고타는 스타일입니다....
타이어의 공기 압력을 정하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만, 자신의 몸무게 라이딩 스타일, 취향에 따라 가장 크게 달라질 것입니다. 같은 자전거에 같은 타이어를 사용해도 사람마다 공기압이 틀리죠. 결국 자신의 취향대로 나가는 문제인 것 같구요. 더 넣으면 어떻고 덜 넣으면 어떻고 하는 내용은 찾기 쉬우시니 참고하시어 정하시면 된다고 봅니다. 다만 부드러운 것을 좋아한다고 지나치게 적은 공기압을 넣으면 매우 위험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허용치 이상의 압력을 넣어도 위험합니다. 참고로 앞바퀴의 경우, 라이딩 장소, 목적, 취향에 따라 타이어에 써 있는 공기압보다 더 적게 넣고 타기도 합니다.
저는 보통 최고 한계치까지 넣고 다녔습니다.
그러니까 35~65 psi 인 타이어라면, 62~63정도까지 넣었지요.
그런데 지난 주 토요일,
조금 긴 라이딩을 마치고 타이어를 검사해보니,
각각의 트레드 튀어나온 부분과 타이어 본체와의 사이에
균열들이 많이 생겨 타이어가 갈라질 지경이 되었더군요.
비포장도로 1,500 km, 포장도로 600 km 의 비율로
지금까지 총 2,100 km 정도 주행한 타이어입니다.
따라서 최고 한계치 부근까지 넣고 다니면
도로에서의 속도는 더 나오겠지만,
타이어의 수명은 매우 짧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35~65 psi 인 제 타이어의 경우,
트레드와 타이어 본체 사이의 균열이 나타나지 않을 정도의
타이어 압력은 45~55 psi 정도인 것으로 측정됩니다.
결론적으로,
최소와 최고 한계치에서 각각 10 psi 정도 안쪽의 범위에서
타이어 압력을 알맞게 조절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35~65 psi 인 타이어라면, 62~63정도까지 넣었지요.
그런데 지난 주 토요일,
조금 긴 라이딩을 마치고 타이어를 검사해보니,
각각의 트레드 튀어나온 부분과 타이어 본체와의 사이에
균열들이 많이 생겨 타이어가 갈라질 지경이 되었더군요.
비포장도로 1,500 km, 포장도로 600 km 의 비율로
지금까지 총 2,100 km 정도 주행한 타이어입니다.
따라서 최고 한계치 부근까지 넣고 다니면
도로에서의 속도는 더 나오겠지만,
타이어의 수명은 매우 짧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35~65 psi 인 제 타이어의 경우,
트레드와 타이어 본체 사이의 균열이 나타나지 않을 정도의
타이어 압력은 45~55 psi 정도인 것으로 측정됩니다.
결론적으로,
최소와 최고 한계치에서 각각 10 psi 정도 안쪽의 범위에서
타이어 압력을 알맞게 조절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