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단동식 브렉에 문제점??
추천 수 ( 0 )![](/files/attach/images/3385562/681/188/004/왈바리뷰2.jpg)
안녕하세요 왈바회원님~
림브렉을 꾸준히 사용하다 매번 림이 미세하게 흐트러지면서 디스크로 갈려고 합니다.
왈바에 보니까 기겨식(아비드 볼베어링 7)에 대한 리뷰가 제가각이라서요~
단동식이라는 것이 얼매나 안좋길래 그럴까 싶기도 하고,
유압관리가 얼매나 까딸스러워서일까 싶기도 하구요~
유저분들에게 쪽지 3번가량 보냈을 때는 전부 괜찮다 하시는데....
솔직히 샾 사장님은 차라리 저렴한 유압으로 가려고 하라는데 음~~
어떤 것이 괜찮은 것인지요??
그렇게 아비드 볼베어링같은 기꼐식에 문제가 있나요??
정확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_ _)꾸벅~
첨부 (1)
답변 (12)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왈바에는 잘 올라오지 않는 내용이지만 샵에 수리 의뢰가 오는 잔차들을 보면 유압식도 말썽(수시로 변하는 레버감, 특정 모델의 더럽게 까다로운 브리딩, 떨어지는 제동력, 약한 레버 내구성, 한쪽만 움직이는 피스톤...)을 자주 부리는 모델이 분명 있습니다. 이런것을 구입하시면 기계식보다 못할 수도 있겠지만 말썽없이 잘 작동하는 모델들도 많습니다.
(시마노 Deore, LX, XT... 다행히 이놈들은 비싸지 않습니다)
-유압 디스크브레이크는 한번 구입하시면 대단히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 모델을 구입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소모품은 물론이고 성능이 검증된 모델이기도 합니다)
(시마노 Deore, LX, XT... 다행히 이놈들은 비싸지 않습니다)
-유압 디스크브레이크는 한번 구입하시면 대단히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 모델을 구입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소모품은 물론이고 성능이 검증된 모델이기도 합니다)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skywalker, NRS3님과 비슷한 의견입니다.
유압식에 대한 기계식의 장단점 (최상급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기준으로 비교)
장점
- 가격이 싸다.
- 기존 림브레이크의 레버를 이용할 수 있다.
- 기존의 림브레이크의 케이블 장착부를 이용할 수 있고 케이블 세팅이 쉽다.
-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다.
- 장착, 조정, 수리가 간단하다.
- 기온에 의한 브레이크 영향이 없다.
단점
- 손가락 힘이 더 많이 필요하다.
- 뽀대가 좀 떨어진다.(매우 주관적임)
어차피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조는 똑같고 피스톤을 미는 방식만 유압이냐 케이블 텐션이냐의 차이 이므로 그 외의 기능은 다를 바가 없습니다. 기계식이 저가여서 기능이 떨어질 것이란 선입견 때문에 유압식을 선호하지만 잘 따져보면 기계식의 장점이 오히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뽀대, 손맛으로 타는 사람이야 유압식이 당연히 낫겠지만 경제성, 기계적 특성에 따른 실용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겐 기계식이 오히려 추천됩니다. 얼마나 긴 내리막을 내려오는 지 모르지만 기계식도 손가락 강약으로 속도를 조절하면서 내려오는 맛이 절대 나쁘지 않습니다.
그리고 림브레이크는 기후영향, 휠셋의 상태, 림 표면의 상태, 휠의 주행 진동 등에 따라 불균질한 브레이킹이 되는 점이 있는 바, 이에 대해 디스크브레이크의 특성은 유압식이나 기계식이나 똑같이 개선된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겠지요.
손가락 힘이 너무 부족한 사람이 아니라면 기계식에 총분히 적응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유압식이냐 기계식이냐는 취향의 문제일 뿐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유압식에 대한 기계식의 장단점 (최상급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기준으로 비교)
장점
- 가격이 싸다.
- 기존 림브레이크의 레버를 이용할 수 있다.
- 기존의 림브레이크의 케이블 장착부를 이용할 수 있고 케이블 세팅이 쉽다.
-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다.
- 장착, 조정, 수리가 간단하다.
- 기온에 의한 브레이크 영향이 없다.
단점
- 손가락 힘이 더 많이 필요하다.
- 뽀대가 좀 떨어진다.(매우 주관적임)
어차피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조는 똑같고 피스톤을 미는 방식만 유압이냐 케이블 텐션이냐의 차이 이므로 그 외의 기능은 다를 바가 없습니다. 기계식이 저가여서 기능이 떨어질 것이란 선입견 때문에 유압식을 선호하지만 잘 따져보면 기계식의 장점이 오히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뽀대, 손맛으로 타는 사람이야 유압식이 당연히 낫겠지만 경제성, 기계적 특성에 따른 실용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겐 기계식이 오히려 추천됩니다. 얼마나 긴 내리막을 내려오는 지 모르지만 기계식도 손가락 강약으로 속도를 조절하면서 내려오는 맛이 절대 나쁘지 않습니다.
그리고 림브레이크는 기후영향, 휠셋의 상태, 림 표면의 상태, 휠의 주행 진동 등에 따라 불균질한 브레이킹이 되는 점이 있는 바, 이에 대해 디스크브레이크의 특성은 유압식이나 기계식이나 똑같이 개선된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겠지요.
손가락 힘이 너무 부족한 사람이 아니라면 기계식에 총분히 적응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유압식이냐 기계식이냐는 취향의 문제일 뿐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