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카본이 원래 충격에 약한걸까요??
추천 수 ( 0 )...오늘 산에 올라가다가 급경사 업힐에서 기어 한번에 3개 내리다가 중심잃어서 클릿페달 빼지도 못하고 자빠링했는데...
비싸게 주고 구입한 카본 바엔드가 찌그러졌더군요... -.,-;;
음료수깡통 손가락으로 살짝 눌러서 약간 찌그러뜨린듯한 모양이 됬는데.. ㅎㅎ
원래 카본이 약한재질인지... 음... 잘 모르겠군요.... ㅎㅎ 바엔드 잡으면 손으로 오는 떨림이 약해지는걸보니 확실히 카본이 탄성은 좋은거같은데...
비싸게 주고 구입한 카본 바엔드가 찌그러졌더군요... -.,-;;
음료수깡통 손가락으로 살짝 눌러서 약간 찌그러뜨린듯한 모양이 됬는데.. ㅎㅎ
원래 카본이 약한재질인지... 음... 잘 모르겠군요.... ㅎㅎ 바엔드 잡으면 손으로 오는 떨림이 약해지는걸보니 확실히 카본이 탄성은 좋은거같은데...
답변 (13)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먼저 죄송합니다. 날초님 잘못 알고 계신것 같아 수정 하겠습니다. 알루미늄과 비교해서 카본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카본은 FRP의 일종으로 물탱크나 욕조같은 제품이 유리섬유/폴리에스터수지 라면 흔히 말하는 카본은 카본섬유/에폭시 수지로 되어있습니다.
접착제로 많이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로 제품을 만들면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카본 섬유로 보강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성형은 힘듭니다.알루미늄처럼 용접이나 절단,판금,이런공정이 아니고 하나하나 몰드를 사용하여 레이업하고 필름으로 밀봉한뒤 진공을 이요하여 형상을 잡고 130도-170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1-3시간정도 구워줘야합니다.그래서 비쌉니다.연성은 알루미늌보다 크지 않고 brittle하여 깨지는 문제점이 있고 내마모도도 생각보다 좋습니다. 부식은 됩니다.고분자수지의 특성상 자외선에 약하고(실외 물탱크 보시면 색이바램)...열경하성수지이기때문에 열가소성수지인(PP,PE,PET...)제품에 비해서 열적 특성이 뛰어납니다.
인성..즉 tougthnes도 있으며 인성을 높여주는 기술도 복합재료의 한 분야입니다. 내충격성은 알루미늄과 비교할때 강한편이나 힘이 가해질때 금속은 찌그러지는 방면 카본은 깨지는 단점이 있습니다.소성변형.. 항복점..파괴강도 개념등을 설명해야 하나..오늘은 이만..^^
접착제로 많이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로 제품을 만들면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카본 섬유로 보강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성형은 힘듭니다.알루미늄처럼 용접이나 절단,판금,이런공정이 아니고 하나하나 몰드를 사용하여 레이업하고 필름으로 밀봉한뒤 진공을 이요하여 형상을 잡고 130도-170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1-3시간정도 구워줘야합니다.그래서 비쌉니다.연성은 알루미늌보다 크지 않고 brittle하여 깨지는 문제점이 있고 내마모도도 생각보다 좋습니다. 부식은 됩니다.고분자수지의 특성상 자외선에 약하고(실외 물탱크 보시면 색이바램)...열경하성수지이기때문에 열가소성수지인(PP,PE,PET...)제품에 비해서 열적 특성이 뛰어납니다.
인성..즉 tougthnes도 있으며 인성을 높여주는 기술도 복합재료의 한 분야입니다. 내충격성은 알루미늄과 비교할때 강한편이나 힘이 가해질때 금속은 찌그러지는 방면 카본은 깨지는 단점이 있습니다.소성변형.. 항복점..파괴강도 개념등을 설명해야 하나..오늘은 이만..^^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알루미늄 합금과 비교해서입니다.알루미늄 합금도 많이 있지만 카본종류도 무지 많습니다.인장 탄성률로 구분하면 24톤,30톤,36톤,40톤,46톤...128톤까지 나오고 있구요..보통 고가의 낚싯대는46톤입니다.강도별로T300,T700,T800...이런순으로 나오고 있습니다.그리고 같은 카본 섬유라도 제직형태,배열순서 성형시 적층방법,순서에 따라 물성이 많이 차이납니다.알루미늄 합금에 비해서 무게로 나누는 비강도 비탄성률은 거의3-4배까지 됩니다.그리고 케블라 복합재료...모두 좋은 것은 아닙니다.
카본섬유보다 좋은것은 인장강도가 좋아서 질긴 성질이 있는 뿐입니다.
자전거에 좋은 탄성은 카본보다 떨어집니다.그런데 케블라가 방탄소재로 사용된다는 특수성때문에 사람들이 괜히 선호하기때문에 비싸게 파는 상술인것 같네여.케블라도 29와49로 나누어지는데49가 물성이 우수합니다.
자전거 부품은 49사용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카본섬유보다 좋은것은 인장강도가 좋아서 질긴 성질이 있는 뿐입니다.
자전거에 좋은 탄성은 카본보다 떨어집니다.그런데 케블라가 방탄소재로 사용된다는 특수성때문에 사람들이 괜히 선호하기때문에 비싸게 파는 상술인것 같네여.케블라도 29와49로 나누어지는데49가 물성이 우수합니다.
자전거 부품은 49사용하는지 모르겠습니다.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갈치님이 파시는..국산핸들바...말씀이죠?? 실제로 보지못했고 ..다른사람이 정성껏 만든 제품을 평가하기가 조심스럽네요.사진이랑 시험장비를 유추해 보면 kimm(한국기계연구원)에서 계신 분들이 나와서 만든 회사중에 "태용"이라고 있는데 그 회사에서 만든 제품인듯 합니다. 구조 해석을 하고 설계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3Point굴곡시험을 하여 이스턴사 제품과 비교시험을 한것 같습니다. 제 짧은 견해는 핸들바의 강도도 중요하지만 탄성도 중요합니다.강도 구하면서 탄성도 같이 비교했는지 ...시험결과를 공개 안했으니 모르겠구요^^핸들바는 항복점 이상의 파괴강도도 중요하지만 달리는동안 계속적인 힘과 진동을 받기때문에 내피로도도 중요한것 같습니다.피로시험은 싸이클에따라 일주일에서 한달까지 걸리는 시험이라....시험하기가 힘들었을것 같구요..느낌은 실제로 사용해 보신 분들이 더 잘알수 있죠^^ 참, 성형 방법은 블로우 공법이라 불리우는 인너 압력 성형입니다.몰드안쪽에 소재를 적층하고 풍선을 불어넣어 압력과 온도를 주는 방법인것 같습니다. 이 방법이면 곧 그회사에서 라이저바도 나올것 같네요.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