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답변 (13)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공기저항도 고려해야 겠지만 무엇보다 타이어라 생각합니다.
타이어 종류가 어떤가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이는거 같습니다.
고급 . 일반 이런식 말고
산악용이나 로드용이냐 생활용이냐.. 하는식으로요.
산악용타이어로 도로를 달리면 도로바닥에 윙윙 마찰을
일으키며 저항을 심하게 받는 반면
로드용이나 생활용은 스르르륵 잘 굴러간다는 느낌.
느낌이 아니라 실제라 생각합니다.
산악용 타이어는 덤프트럭.
일반용은 자가용 승용차. 라고 보면 어떨지..
덤프용 타이어는 오프로드에서 적합하지만 도로에선 소리만 요란하고 안굴러갑니다..
덤프트럭, 컨태이너 차량 10 년 가량 경험했습니다.
자전거 타이어도 비슷하다 생각합니다.
타이어 종류가 어떤가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이는거 같습니다.
고급 . 일반 이런식 말고
산악용이나 로드용이냐 생활용이냐.. 하는식으로요.
산악용타이어로 도로를 달리면 도로바닥에 윙윙 마찰을
일으키며 저항을 심하게 받는 반면
로드용이나 생활용은 스르르륵 잘 굴러간다는 느낌.
느낌이 아니라 실제라 생각합니다.
산악용 타이어는 덤프트럭.
일반용은 자가용 승용차. 라고 보면 어떨지..
덤프용 타이어는 오프로드에서 적합하지만 도로에선 소리만 요란하고 안굴러갑니다..
덤프트럭, 컨태이너 차량 10 년 가량 경험했습니다.
자전거 타이어도 비슷하다 생각합니다.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자전거가 달릴때 받는 저항을 나열해보면
1. 공기저항-------빨리달릴수록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것이 공기저항이니까 몸에 밀착되는 저지를 입어야겠죠.
2. 지면마찰저항-------당연 얇고 가벼운 타이어가 잘나갈것이고 트래드가 굵지않은 로드용이 빠르겠죠.
3. 무게저항-------- 가벼운 잔차가 빠른것은 당연하죠. 특히 그중에서 휠과 타이어쪽이 가벼운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은 신발이 1kg무게가 차이나면 상당히 다르지만 등에맨 가방무게가 1kg 차이가 나는것은 크게 차이를 못느끼는것과 마찬가지겠죠.
4. 기계저항-------- 힘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기계적 마찰이나 내구성이 뛰어난 부품을 쓰는것이 중요하겠죠. 그러니까 당연히 구동파트가 중요하겠죠.
갠적으론 후레임은 논외로하고 속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부품은 타이어- 휠셋(허브)- BB 순으로 생각되는군요.
1. 공기저항-------빨리달릴수록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것이 공기저항이니까 몸에 밀착되는 저지를 입어야겠죠.
2. 지면마찰저항-------당연 얇고 가벼운 타이어가 잘나갈것이고 트래드가 굵지않은 로드용이 빠르겠죠.
3. 무게저항-------- 가벼운 잔차가 빠른것은 당연하죠. 특히 그중에서 휠과 타이어쪽이 가벼운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은 신발이 1kg무게가 차이나면 상당히 다르지만 등에맨 가방무게가 1kg 차이가 나는것은 크게 차이를 못느끼는것과 마찬가지겠죠.
4. 기계저항-------- 힘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기계적 마찰이나 내구성이 뛰어난 부품을 쓰는것이 중요하겠죠. 그러니까 당연히 구동파트가 중요하겠죠.
갠적으론 후레임은 논외로하고 속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부품은 타이어- 휠셋(허브)- BB 순으로 생각되는군요.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