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답변 (1)
뒷변속기에 비해서는 약간 수월하지만 그래도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네요.
그래도 한 번해본다면,
조절할 것은 3가지입니다. 드레일러 높이와 최저점, 최고점 셋팅 그리고 케이블 텐션입니다.
드레일러 높이는 잡혀있을거라 생각하고 먼저 최저,고점을 셋팅해야 합니다.
드레일러를 보면 윗쪽에 2개의 나사가 있습니다. L,H 이렇게 써있습니다.
드레일러를 제일 작은 기어쪽에 가있게 내려놓으신후 L나사를 돌려서 최대한 제일 작은기어와 평행이 되게 셋팅합니다. 그리고 제일 큰 기어쪽으로 드레일러를 올린 후 H나사를 돌려 마찬가지로 기어와 드레일러가 평행이 되도록 셋팅합니다.
그렇게 하고 나서 변속을 이리저리 해봅니다. 그러면 1단에서 2단으로 넘어가는게 잘 안되던지 아니면 2단에서 1단으로 내려가는게 안되던지 원활하지 못한 곳이 있습니다.
그런곳에 드레일러를 위치한 후에 케이블 텐션을 요리조리 조절하시는 겁니다. ^^
말로 설명하기는 참 어렵네요. ^^
그래도 한 번해본다면,
조절할 것은 3가지입니다. 드레일러 높이와 최저점, 최고점 셋팅 그리고 케이블 텐션입니다.
드레일러 높이는 잡혀있을거라 생각하고 먼저 최저,고점을 셋팅해야 합니다.
드레일러를 보면 윗쪽에 2개의 나사가 있습니다. L,H 이렇게 써있습니다.
드레일러를 제일 작은 기어쪽에 가있게 내려놓으신후 L나사를 돌려서 최대한 제일 작은기어와 평행이 되게 셋팅합니다. 그리고 제일 큰 기어쪽으로 드레일러를 올린 후 H나사를 돌려 마찬가지로 기어와 드레일러가 평행이 되도록 셋팅합니다.
그렇게 하고 나서 변속을 이리저리 해봅니다. 그러면 1단에서 2단으로 넘어가는게 잘 안되던지 아니면 2단에서 1단으로 내려가는게 안되던지 원활하지 못한 곳이 있습니다.
그런곳에 드레일러를 위치한 후에 케이블 텐션을 요리조리 조절하시는 겁니다. ^^
말로 설명하기는 참 어렵네요. ^^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