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디스크브레이크 질문드립니다(입문자)
추천 수 ( 0 )디스크 브레이크 잔차를 살려고하는데요.
일반 브레이크와 어떻게 틀린거죠? 또 원리도 궁금하구요..
살짝만 잡아도 브레이킹이 된다고 하는데
위험하진 않을까요?
답변 부탁드릴게요.
일반 브레이크와 어떻게 틀린거죠? 또 원리도 궁금하구요..
살짝만 잡아도 브레이킹이 된다고 하는데
위험하진 않을까요?
답변 부탁드릴게요.
답변 (2)
림브렉도 셋팅만 잘하면 좋은 제동력이 나옵니다만.. 전체적인 성능이나 관리면에서 유압디스크가 편한건 사실입니다. 한번 셋팅하면 거의 손볼일이 없죠..
살짝만 잡아도 브레이킹이 되기때문에 익숙해지면 원핑거 다운힐을 즐길 수 있습니다.
상당한 장점이죠. ^^;
원리는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면 유압이 발생해서 디스크 캘리퍼쪽으로 유압을 밀어줍니다.
디스크 캘리퍼에선 이 유압으로 피스톤을 밀어 디스크 패드를 로터에 밀착시켜서 제동시키는거죠.
파스칼의 원리에 대해 찾아보시면 더 쉽게 이해가 되실겁니다.
a라는 위치에서 b라는 위치로 유압을 가했을때 b면의 단면적이 a의 단면적 보다 n배로 커지면 b 면에 가해지는 힘은 a*n이 되는.. 뭐 이런거죠.
디스크나 림브렉이나 다 장단점이 있으니 충분히 검토후 결정하세요.. 주로 로드나 임도수준의 라이딩이라면 굳이 디스크는 불필요합니다.
살짝만 잡아도 브레이킹이 되기때문에 익숙해지면 원핑거 다운힐을 즐길 수 있습니다.
상당한 장점이죠. ^^;
원리는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면 유압이 발생해서 디스크 캘리퍼쪽으로 유압을 밀어줍니다.
디스크 캘리퍼에선 이 유압으로 피스톤을 밀어 디스크 패드를 로터에 밀착시켜서 제동시키는거죠.
파스칼의 원리에 대해 찾아보시면 더 쉽게 이해가 되실겁니다.
a라는 위치에서 b라는 위치로 유압을 가했을때 b면의 단면적이 a의 단면적 보다 n배로 커지면 b 면에 가해지는 힘은 a*n이 되는.. 뭐 이런거죠.
디스크나 림브렉이나 다 장단점이 있으니 충분히 검토후 결정하세요.. 주로 로드나 임도수준의 라이딩이라면 굳이 디스크는 불필요합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