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체인셋팅과브레이크에대한질문...
추천 수 ( 0 )제가 몇일전에 엠티비입문용인 모하비 5.5를 구입했습니다.
모하비5.0과 달리 5.5는 립브레이크를 사용하더라구요.
1.브레이크를 어떤것을 쓰는게 낳을까요???
2.디스크브레이크를 장착할때 앞뒤모두 디스크브레이크로 해주는건가요?
아니면 앞은 디스크 뒤는 림으로 따로따로 해도 돼는건가요???
3.디스크브레이크에서 기계식과 유압식의 차이점...어떤게 더 좋은지..
4.림브레이크사용시 추천할만한 제품 디스크브레이크사용시 추천할만한제품...소개좀..
5.산지 몇일 안됐는데.. 체인이 잘 빠지는거 같아요..사람들이 체인셋팅이라는것을 하라는데 체인잘빠질때 해결책..이 뭐있나요??
에고 제가 요즘 자전거에 푹빠져서 또 처음입문이라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정말 죄송할지라도 시간내주셔서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모하비5.0과 달리 5.5는 립브레이크를 사용하더라구요.
1.브레이크를 어떤것을 쓰는게 낳을까요???
2.디스크브레이크를 장착할때 앞뒤모두 디스크브레이크로 해주는건가요?
아니면 앞은 디스크 뒤는 림으로 따로따로 해도 돼는건가요???
3.디스크브레이크에서 기계식과 유압식의 차이점...어떤게 더 좋은지..
4.림브레이크사용시 추천할만한 제품 디스크브레이크사용시 추천할만한제품...소개좀..
5.산지 몇일 안됐는데.. 체인이 잘 빠지는거 같아요..사람들이 체인셋팅이라는것을 하라는데 체인잘빠질때 해결책..이 뭐있나요??
에고 제가 요즘 자전거에 푹빠져서 또 처음입문이라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정말 죄송할지라도 시간내주셔서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3)
1. 취향입니다.
2. 앞 뒤 모두 디스크여야 자세 나오죠. 둘중에 하나만 디스크로 할거면 앞에 디스크를
3. 당연 유압식이죠
4. 저렴버젼이라면 아비드 싱글디짓 시리즈 고가품이라면 아비드 얼티밋 디스크는 호프미니나, 마구라 마르타 그러나 가격이 안착하다는거...
자전거값 이라는...
5. 체인이 바깥쯕으로 빠지면 드레일러의 H나사를 한바퀴정도 감아주시고 안쪽으로 프레임쪽으로 떨어지는 현상이라면 L나사를 한바퀴 감아주세요.
마지막으로 거기에서 업글하시느니 그냥 타시고 돈 모으세요...
V브레이크로 얼티밋 유압식으로 마르타를 장착할만한 능력 될때까지...
2. 앞 뒤 모두 디스크여야 자세 나오죠. 둘중에 하나만 디스크로 할거면 앞에 디스크를
3. 당연 유압식이죠
4. 저렴버젼이라면 아비드 싱글디짓 시리즈 고가품이라면 아비드 얼티밋 디스크는 호프미니나, 마구라 마르타 그러나 가격이 안착하다는거...
자전거값 이라는...
5. 체인이 바깥쯕으로 빠지면 드레일러의 H나사를 한바퀴정도 감아주시고 안쪽으로 프레임쪽으로 떨어지는 현상이라면 L나사를 한바퀴 감아주세요.
마지막으로 거기에서 업글하시느니 그냥 타시고 돈 모으세요...
V브레이크로 얼티밋 유압식으로 마르타를 장착할만한 능력 될때까지...
다른건 고수님들이 설명해 주실 거고.. 기계식과 유압식은 단순히 힘전달 방식의 차이입니다.
로터 및 패드가 같다면 순수하게 마찰력은 기계식이나 유압식이나 동일하지요..
단지 기계식은 와이어에 의한 힘 전달방식이므로 와이어 장력에 항상성이 떨어지고, 케이블 내부 마찰에 따른 힘손실이 많죠.. (다시말해 브레이크 잡는데 힘을 더 줘야 한다는 뜻이죠..)
유압식은 케이블 내부에 유체로 채워지기 때문에 케이블에 의한 마찰력이 존재하지 않고, 또 와이어 처럼 장력변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가벼운 힘으로 브레이킹이 가능하며, 항상 같은 힘으로 같은 제동력(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죠..
로터 및 패드가 같다면 순수하게 마찰력은 기계식이나 유압식이나 동일하지요..
단지 기계식은 와이어에 의한 힘 전달방식이므로 와이어 장력에 항상성이 떨어지고, 케이블 내부 마찰에 따른 힘손실이 많죠.. (다시말해 브레이크 잡는데 힘을 더 줘야 한다는 뜻이죠..)
유압식은 케이블 내부에 유체로 채워지기 때문에 케이블에 의한 마찰력이 존재하지 않고, 또 와이어 처럼 장력변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가벼운 힘으로 브레이킹이 가능하며, 항상 같은 힘으로 같은 제동력(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죠..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