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자전거도로에서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는 것은 불법일까?
(질문2)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는 ‘차’일까 ‘보행자’일까?
(질문3)자전거도로에서 정상 주행 중이던 자전거에 인라인스케이트가 무단횡단을 하다 부딪쳤다.과연 누구의 과실이 더 클까?
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품어 봤음 직 한 의문들이다. 그런데 이런 질문들에 자신 있게 정답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
고유가로 인한 대체교통수단으로, 또 최근 ‘웰빙’열풍 등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스케이트와 자전거를 즐기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인라인스케이트 인구는 약 450만 명. 자전거는 2002년에만 사상 최고인 150만대가 팔리는 등 650만 명 가량이 타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변화된 시대에 걸 맞는 법 개정이나 시설물 이용 지침이 만들어 지지 않고 있는 것은 물론 상대방을 배려하는 라이더들의 의식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인라인스케이트 vs 자전거▼
이른바 ‘로드런’이 유행하며 공원 등 제한된 장소에서 즐기던 인라이너들이 도로로 쏟아져 나왔다.
인라이너들이 선택한 ‘로드런’ 장소는 자전거도로. 그런데 대부분의 자전거도로는 폭이 좁다.
대표적인 자전거도로 인 서울 한강시민공원 자전거도로의 폭은 3m 남짓. 중앙선으로 분리된 편도의 넓이는 1m50밖에 안 된다. 이 좁은 도로에 원래 있던 자전거 외에 인라인스케이트와 마라토너까지 몰리자 각종 충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시작했다.
자전거 타는 사람들은 “왜 자전거 도로에 인라인스케이트가 들어오냐”며 불만을 제기했다.
그러나 자전거 타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별 공감대를 얻지 못했다.
왜냐하면 한강 변 자전거도로는 ‘자전거전용도로’가 아닌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였기 때문(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도로교통법상 ‘보행자’인 인라인스케이트도 당연히 이용권리가 있는 것.(질문 1·2의 답)
자전거 타는 사람들의 불만은 또 있다.
도로교통법 2조 13호에 자전거는 차로 규정돼 있다. (질문2의 답)
이로 인해 자전거겸용도로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고의 시시비비를 가릴 때 억울 하게(?) 가해자가 되는 경우가 잦다는 피해의식에 시달리고 있는 것.
2만 명 이상이 가입된 대표적인 MTB 동호회 사이트 와일드바이크(www.wildbike.co.kr)등 각종 자전거 관련 게시판에는 인라인스케이트와의 충돌사고로 인한 억울함을 호소하는 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실제 경찰에서도 “자전거도로에서 자전거 관련 사고가 발생했을 때 자전거를 자동차’로 규정한 도로교통법의 교통사고처리지침에 따른다”고 밝혔다.(질문3의 답)
그렇다고 인라이너들의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인라인스케이트 사이트인 인라인시티(www.spark.dreamwiz.com)운영자인 박순백 드림위즈 부사장은 “자전거에게 기득권이 주어진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자전거도로’란 명칭부터 고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한강 자전거도로의 경우 ‘인라인도로’로 봐도 무방할 정도로 인라인스케이트가 점령했다”며 “(절이 싫으면 스님이 떠나듯) 자전거는 교외로 나가거나 국도에서 타면 될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런 불만들은 각각의 전용 도로를 만들어 주면 간단하게 해결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럴만한 공간이 없다는 게 문제.
▼“공존 방법 모색해야”▼
문화일보에서 인라인 기자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김구철 기자는 “자전거와 인라인스케이트의 싸움은 무의미하다”며 “(현실을 인정하고)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공존’할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전거 도로의 명칭을 ‘녹색도로’라고 바꿔 모든 무동력 교통수단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선진국의 경우 도심 곳곳에 화석연료를 안 쓰는 교통수단 전용 도로를 늘리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도 양측이 힘을 합쳐 ‘녹색도로’를 도심까지 확대하는 공동사업을 추진 할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며 “인라인스케이트와 자전거를 타는 사람 간의 적극적인 교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해식 동아닷컴기자 pistols@donga.com
--------------------------------------------------------------------
인라인쪽의 손을 들어주는 것 처럼 보입니다.
인라인도 보행자였군요. 처음 알았네요... ㅋㅋ
제일 싫어하는 결론이 이딴식의 결론인데.....
서로 대안을 찾자, 공존의 길을 모색하자, 서로 이해해야 한다....
참나.. 어쩌라는겐지....
(질문2)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는 ‘차’일까 ‘보행자’일까?
(질문3)자전거도로에서 정상 주행 중이던 자전거에 인라인스케이트가 무단횡단을 하다 부딪쳤다.과연 누구의 과실이 더 클까?
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품어 봤음 직 한 의문들이다. 그런데 이런 질문들에 자신 있게 정답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
고유가로 인한 대체교통수단으로, 또 최근 ‘웰빙’열풍 등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스케이트와 자전거를 즐기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인라인스케이트 인구는 약 450만 명. 자전거는 2002년에만 사상 최고인 150만대가 팔리는 등 650만 명 가량이 타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변화된 시대에 걸 맞는 법 개정이나 시설물 이용 지침이 만들어 지지 않고 있는 것은 물론 상대방을 배려하는 라이더들의 의식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인라인스케이트 vs 자전거▼
이른바 ‘로드런’이 유행하며 공원 등 제한된 장소에서 즐기던 인라이너들이 도로로 쏟아져 나왔다.
인라이너들이 선택한 ‘로드런’ 장소는 자전거도로. 그런데 대부분의 자전거도로는 폭이 좁다.
대표적인 자전거도로 인 서울 한강시민공원 자전거도로의 폭은 3m 남짓. 중앙선으로 분리된 편도의 넓이는 1m50밖에 안 된다. 이 좁은 도로에 원래 있던 자전거 외에 인라인스케이트와 마라토너까지 몰리자 각종 충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시작했다.
자전거 타는 사람들은 “왜 자전거 도로에 인라인스케이트가 들어오냐”며 불만을 제기했다.
그러나 자전거 타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별 공감대를 얻지 못했다.
왜냐하면 한강 변 자전거도로는 ‘자전거전용도로’가 아닌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였기 때문(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도로교통법상 ‘보행자’인 인라인스케이트도 당연히 이용권리가 있는 것.(질문 1·2의 답)
자전거 타는 사람들의 불만은 또 있다.
도로교통법 2조 13호에 자전거는 차로 규정돼 있다. (질문2의 답)
이로 인해 자전거겸용도로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고의 시시비비를 가릴 때 억울 하게(?) 가해자가 되는 경우가 잦다는 피해의식에 시달리고 있는 것.
2만 명 이상이 가입된 대표적인 MTB 동호회 사이트 와일드바이크(www.wildbike.co.kr)등 각종 자전거 관련 게시판에는 인라인스케이트와의 충돌사고로 인한 억울함을 호소하는 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실제 경찰에서도 “자전거도로에서 자전거 관련 사고가 발생했을 때 자전거를 자동차’로 규정한 도로교통법의 교통사고처리지침에 따른다”고 밝혔다.(질문3의 답)
그렇다고 인라이너들의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인라인스케이트 사이트인 인라인시티(www.spark.dreamwiz.com)운영자인 박순백 드림위즈 부사장은 “자전거에게 기득권이 주어진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자전거도로’란 명칭부터 고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한강 자전거도로의 경우 ‘인라인도로’로 봐도 무방할 정도로 인라인스케이트가 점령했다”며 “(절이 싫으면 스님이 떠나듯) 자전거는 교외로 나가거나 국도에서 타면 될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런 불만들은 각각의 전용 도로를 만들어 주면 간단하게 해결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럴만한 공간이 없다는 게 문제.
▼“공존 방법 모색해야”▼
문화일보에서 인라인 기자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김구철 기자는 “자전거와 인라인스케이트의 싸움은 무의미하다”며 “(현실을 인정하고)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공존’할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전거 도로의 명칭을 ‘녹색도로’라고 바꿔 모든 무동력 교통수단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선진국의 경우 도심 곳곳에 화석연료를 안 쓰는 교통수단 전용 도로를 늘리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도 양측이 힘을 합쳐 ‘녹색도로’를 도심까지 확대하는 공동사업을 추진 할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며 “인라인스케이트와 자전거를 타는 사람 간의 적극적인 교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해식 동아닷컴기자 pistols@donga.com
--------------------------------------------------------------------
인라인쪽의 손을 들어주는 것 처럼 보입니다.
인라인도 보행자였군요. 처음 알았네요... ㅋㅋ
제일 싫어하는 결론이 이딴식의 결론인데.....
서로 대안을 찾자, 공존의 길을 모색하자, 서로 이해해야 한다....
참나.. 어쩌라는겐지....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