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번엔 아이들 기침과 꿀에 대한 연구결과..

sancho2007.12.05 18:28조회 수 1195댓글 11

    • 글자 크기


3살짜리 딸래미를 키우다보니 이런 연구결과를 보니 눈이 번쩍 뜨이네요.
다른 어떤 기침감기약보다 자기전에 꿀을 한스푼 먹이는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연구결과입니다. 기침이 낳은 뒤에도 얼마간 먹이는게 좋다고 되어 있구요.
folk remedy(민간요법)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된 하나의 좋은 예가 되겠네요.
오늘 당장 기침감기 걸린 딸래미에게 꿀 한스푼 먹이고 추이를 볼 예정입니다.
물론 오늘 감기약 타온것도 같이 먹여야겠죠. 그동안 감기약만 먹인 경우 잘 낫질 않았는데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For the study, researchers recruited 105 children with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from a clinic in Pennsylvania. Parents were given a paper bag with a dosing device inside. Some were empty. Some contained an age-appropriate dose of honey-flavored cough medicine containing dextromethorphan. And some contained a similar dose of honey.

The parents were asked about their children's sleep and cough symptoms, once before the bedtime treatment and once after. They rated the symptoms on a seven-point scale.

All of the children got better, but honey consistently scored best in parents' rating of their children's cough symptoms.

"Give them a little time and they'll get better," said Pat Jackson Allen, a professor at Yale University School of Nursing.


    • 글자 크기
성에 대한 흥미있는 연구결과 (by sancho) 부녀 콘서트... (by 으라차!!!)

댓글 달기

댓글 11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만,, 돌이 안 지난 유아에게 꿀을 먹이는 것은 자칫 보툴리누스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고 들은 적이 있습니다...^^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8&dir_id=802&eid=x6EKIWfR647ZtoRy9WRH31DiNJwTiTuN&qb=urjF+LiutKm9ug==



  • 가족들에게 배가운데에다 구멍을 뚫고 꿀을 집어넣고 푹끊입니다
    그배를 그릇속에 넣고 중탕을 해서 아이들하고 옆지기를 먹이고는 하였답니다

    뭔 이유에서인지는 모르겠는데
    밤껍질까고 남은 속껍질하고 대추하고 생강 파뿌리 넣고 푹과서 먹이기도 하였습니다

    예전에는 아버지가 나 어릴때 흙설탕 사다가 콩나물을 삮여서 먹였던 기억이 있습니다 ^^
    민간요법인것 같군요 ^^

    옆지기가 기침이 막 심할때 유자를 따끈하게 끊여서 한잔을 먹였더니 기침이 멋더군요 ^^
  • 꿀은 벌꿀이 최고야..!!

    라는.. 선배 말에... 겁나게 웃다가...

    초 한자루가 다 타는동안... 맞앗습니다...

    그런 억압속에서.. 이렇게 잘 자라온 내 자신이...

    자랑스러울 때가 한번씩 있습니다...우해해..
  • sancho글쓴이
    2007.12.6 08:40 댓글추천 0비추천 0
    역시 연구결과가 맞았습니다. 너무 기분좋습니다. 어제 한스푼먹이고(안먹으려 하는거 억지로 먹였음) 재웠는데 그간 자면서 몇번깨면서 잠을 설쳤었는데 어제는 단 한번 짧게 기침하는 것으로 끝났습니다. 딸아이도 푹자서 생기가 돌고 저도 한번밖에 안깨서 푹자서 컨디션이 좋네요.
    그런데 용가리님 말대로 돌지나지 않은 아이는 절대 꿀먹이면 안됩니다.
  • 저 역시 꿀을 하루에 다섯스푼씩 먹고 잡니다. 꿀 말고 단 음식은 눈에도 안들어오죠 ㅎㅎ 이게 건강에도 좋을줄이야..
  • 근데.. 벌꿀의 당분은 이빨을 썩게 하진 않는지 궁금하군요...
  • 최근에 TV를 보니, 국내의 대다수의 벌꿀이 설탕물을 이용해서 채취해서 성분상에 하자가 있는 다큐를 보았습니다. 협회장인가 하는분이 앞으로 개선하겠다고 하는 장면으로 끝맺음을 했지만, 벌꿀농가의 이야기를 보면 문제가 해소되기 힘들것으로 보입니다.
  • 그나저나 감기에 좋다는 꿀은 제가 좀 먹어야겠네요. 근데,, 꿀이 어딨더라??ㅡ.ㅡ;;
    며칠 전부터 목감기에 걸려 어제 병원에서 주사를 맞고 약을 먹었는데도 도통 반응이 없으니...
    괜히 집사람과 얘들한테 미안해지는군요. 감기라도 옮을까봐 걱정입니다. 콜록콜록...ㅠㅠ
    회원님들도 감기 조심하십시요~~~!!!^^
  • 옆지기~!!! 처음 접해보는 단어였습니다.
    매우 궁금했습니다. 여러 댓글달린것을 보아도, 어느 한분 나와 같은 궁금증을 가진 사람이 없어 보입니다. 마치 남들은 다 알고있고, 나만 [옆지기]란 말을 모르고 있는것같습니다.
    내나이 34!! 옆동료들도 다 알고 있을것만 같아서 물어 보지 못했습니다. 쪽팔릴것 같아서...
    이럴때 유용한 네이버형에게 물어 봤습니다. 한참을 검색해서 알아냈습니다.
    오늘 당장 집에 가서, 와이프에게 써 먹을겁니다.

    "네이버에서 검색된 [옆지기]란, 늘 옆에서 나를 잘 아는 존재란 뜻으로 마누라, 와이프, 집사람이 아니라 옆지기란 말을 쓴다"
  • sancho글쓴이
    2007.12.6 18:37 댓글추천 0비추천 0
    확실히 성분에 하자가 있을 것 같긴 합니다. 설탕먹인 벌꿀이니... 그래도 초기 결과는 좋으니 계속 시도해 볼 생각입니다.
  • 옆지기? ! ! ! 재밌는 말이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드디어 복구했습니다. 와일드바이크 심폐소생의 변!39 Bikeholic 2019.10.27 2660
11635 2년만에 돌아왔습니다 !!15 ultrahakyung 2007.12.05 1093
11634 그래~~ 네가 제일 낫다.30 구름선비 2007.12.05 1720
11633 삼자회동29 천재소년 2007.12.05 6181
11632 이 스피커....아시는 분8 뽀스 2007.12.05 1624
11631 완벽한 트릭........ㅋㅋㅋㅋ3 juntos 2007.12.05 1156
11630 닉네임 때문에 생긴일15 cideng3035 2007.12.05 1442
11629 성에 대한 흥미있는 연구결과9 sancho 2007.12.05 1820
이번엔 아이들 기침과 꿀에 대한 연구결과..11 sancho 2007.12.05 1195
11627 부녀 콘서트...13 으라차!!! 2007.12.05 1145
11626 "괜찮아요?" "are you ok?"10 靑竹 2007.12.06 1390
11625 구름선비님.^^3 말발굽 2007.12.06 891
11624 군대 병과별, 공병이 제일 고생..?!20 ggang 2007.12.06 1764
11623 라이더분 중에 혹시 서울고 졸업생있나요?6 rocky 2007.12.06 1279
11622 일본 동경에 위치한 MTB(샵&클럽)지리 아시는분..도와주셔요.8 MUSSO-TDI 2007.12.06 1280
11621 초심(初心)19 산아지랑이 2007.12.06 1338
11620 일본사발면 시식기..... (사진)13 sura 2007.12.06 1821
11619 용품란의 댓글을 보고 얼마전 올렸던 자유게시판 글이 생각이나 올려봅니다. 5 keysmith 2007.12.07 1064
11618 '바이크 피팅 데이터 산출법 종합 소개'에 관한 건. 3 jaja123 2007.12.07 1438
11617 성형하는 것 어떻게 생각들 하시는지?...12 그랜드허브 2007.12.07 963
11616 맛집찾았습니다.^^ (무교동 과메기집)11 ksh750522 2007.12.07 1839
첨부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