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쳇플레이트 또한 정확한 명칭이 아닙니다.
이는 라쳇 메카니즘을 일반적으로 두개로 구분을 하는데
파울 라쳇와 라쳇플레이트 구분을 하는데
파울 라쳇 방식는 바깝쪽에 톱니가 있고 안쪽에서 스프링으로 밀어서 한쪽으로만 돌고 한쪽을 거는 방식입니다. 이는 호프허브, 링네허브, 튠허브등이있죠.
라쳇 플레이트방식은 님이 말씀하신대로 플레이트(판) 양쪽으로 놓고 스프링으로 밀어서 한쪽으로만 돌고 한쪽을 거는 방식입니다. 이는 보다 강한 힘을 바퀴로 줄 수 있습니다. 이는 휴기허브 뿐이죠.
또한 라쳇플레이트도 정확하게 DT240s메뉴얼에는 스타 라쳇라고 표기 되있죠. 아마 바넷메뉴얼에는 라쳇플레이트라고 표기되어있을 겁니다.
킹허브는 정확히는 링드라이브방식이라고 합니다.
이는 종래에 파울라쳇방식에 라쳇링과는 전혀 다른 방식을 적용하여 차별화를 두었습니다. 이는 72개의 잔잔한 톱니를 가지고 있고 드라이브셀이라는 특이한 프리허브바디를 적용되어 있습니다.. 톱니가 잔잔해서 빠르게 반응하는것이 장점입니다. 잔잔해서 구리스가 많을시에 간혹 유압이 형성되어 원웨이 베어링에 역활을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리휠이라고 하는 것은 위에 모든것을 명칭합니다.
바넷메뉴얼을 보실테니까
바넷메뉴얼에 있는 킹 링드라이브에 설명을 보시면
원문
Ring drive
The Chris King name for the freewheeling design that is used in these hubs instead of a conventional pawl and ratcher-ring design.
라쳇 시스템 일반 산업기계 부분에서는 이미 사용되는 용어 입니다.
라쳇 시스템은 라쳇메커니즘이 적용된 시스템을 나타내는 준말 입니다.
DT 허브에도 ratchet system 이라는 문구가 붙어 있습니다.
쓰신글을 보면 아마 베어링과 라쳇이 조합되어 원웨이 베어링과 비슷한 기능한다는 뜻이겠지요. 사진의 DT 240S의 베어링은 일반베어링으로 원웨이 베어링과의 혼동을 막기위해 언급한 것입니다.
라쳇도 원웨이를 뜻합니다. 하지만 원웨이는 꼭 라쳇만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한예로 클러치를 응용한 시스템도 있습니다.
언급하신 파울 라쳇, 라쳇플레이트, 링드라이브 등등 모두 프리흴링 메커니즘 입니다.
프리휠은 카세트와 외관상 비슷한 모양의 덩어리 입니다. 즉, 허브와는 별도로 톱니(cog)들과 라쳇이 들어있는 바디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한편 호프, 링네, 튠, DT240S이나 King classic 등은 프리허브로, 프리허브는 허브와 프리허브 바디의 결합체를 한번에 나타내는 말입니다. 프리허브 바디에는 카세트나 톱니가 별도로 장착되며, 역시 프리휠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프리휠 메커니즘의 중추적인 기능은 라쳇으로 구현됩니다.
Star ratcet과 Ring drive는 각 회사의 상업적인 고유명사 입니다. 큰 범주 내에서는 라쳇, 또는 원웨이에 속하고, Star ratcet(고유명사), ratcet plate(일반명사)은 통상 같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많이 낮익은 사진들 이네요.. 가신다고 하시더니 벌써 사진까지 올라오시고.. 대단하십니다
교육 끝나는 날까지 최선을 다해서 좋은 결과가 있으셨으면 합니다.
참고로 상단 사진의 노란 포스트잍은 앞변속기 케이지와 앞뒤 체인링과 코그를 잇는 스트링과의
수평을 쉽게 확인 하기 위한 배경입니다..
스컹크님 좋은 조언 감사히 보았습니다.
이러한 장에서 이렇게 만나는것도 기분이 좋네요.
한가지를 더 알아간다는것이 좋으니까요.
그리고 더지님 밥은 더지님이 사는건가요?
미케닉관련 책과 비디오는 전부 사갑니다.
무겁당.
ㅋㅋㅋ
12월 23일 입국입니다. 그이후로 연말이고 연초에나 한번 날잡죠.
포스트 잍이 주제가 되었네요.
제가 이글에 제목을 앞변속기 정밀셋팅법 사진이라고 한 메인포인트입니다.
정밀하게하려면 기준이 필요합니다.
첫번째 기준은 나무를 넣어서 스윙암에 높이를 3단체인링과 1mm-2mm정도로 맞추는 기준입니다.
두번째 기준은 앞쪽에 체인링3단과 뒤쪽에 카셋트스프라켓9단에 스트링을 걸어서 앞변속기가 움직이는 중심축 오버랙존에서의 스윙암 바깥쪽플레이트와 3단체인링에 평행을 상화좌우앞뒤에서 셋팅하는 기준입니다.
여기서 포스트잍을 놓은 부분이 오버랙존입니다. 이는 좀더 라인을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밑에서 전등을 비추면 더욱 정확히 라인이 보입니다.
이전에 아는 방법보다는 앞변속기를 기준에 맞추어서 정확한 셋팅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바넷메뉴얼에 있는 방법입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