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Google Map (maps.google.com) 은
미국과 유럽 몇 나라의 2차원 평면 지도 및 위성 사진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에서 소개드린 Google Earth (earth.google.com) 는
지구 전체를 대상으로 평면 및 3차원 위성 사진을 지원하지요
(3차원 기능이 아주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만).
비록 평면 지도는 제공하지 않습니다만,
위성 사진의 품질은 위의 Google Map의 그것보다 세밀한데다가,
사진 위에 도로망의 표시와 도로 이름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평면 지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듀랑고님,
이 Google Earth 서비스는 Streaming 기반의 기술을 사용하므로
해당 사진이 모두 다운로드 되어야 뭉게지지 않습니다.
즉, 위성 사진 화면 아랫줄의 "Streaming" 인디케이터가
100%를 가리킬 때까지 기다리셔야 합니다.
AstroBike 님 설명 감사합니다.^^
그리고 알려주신 덕택으로 너무도 훌륭한 경험과 재미 느낍니다.
감사드려요.
스트리밍 인디게이터가 100%일 때 최상의 또렸한 사진을 보여주는 건 알았습니다.
근데 저도 뒤늦게 알아낸 것이 위의 퀄리티는
세계의 유명 대도시만을 표현해준다는 것입니다.
즉,우리나라의 경우엔 아무리 확대를 해도 디테일해지지 않더군요.
(한반도에서는 북한의 일부지역만이 예외입니다.)
가까운 나라 일본의 경우엔 도쿄가 하이 퀄리티로 지원이 됩니다.
지도상에서 약간 브라운톤으로 직사각으로 나눠진 곳만이 디테일한 지도를 보여주는 걸
뒤늦게 알았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