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Pantomime....

진빠리2004.07.07 16:26조회 수 343추천 수 32댓글 1

  • 1
    • 글자 크기




판토마임...그리고 유진규

아직 말을 배우기 이전의 어린아이들의 언어는 온갖 몸짓을 동원한 ‘원시성’을 갖는다. 그 언어는 거짓이란 길로 갈 겨를이 없다. ‘원초적’일 수밖에 없다. 현란하고 화려하게 발전한 언어를 구사하는 현대인에게 유진규의 마임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몸의 언어가 아닌 말의 언어로 장기간 학습 받아 몸의 언어인 마임언어가 생소하기 때문이다.

말 이전에는 몸이란 것이 존재하고 따라서 말 또한 몸으로부터 시작한다는 사실은 우리들에게 보다 근원적인 것을 생각하게 한다. ‘마임의 언어는 몸의 언어이다.’ 마임은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말이 다르다. 몸이라는 원초적인 것을 통해 인간과 사물과 세상을 모방하고 사유하고 표현하는 몸짓예술의 한 형태이며 그것을 행하는 배우가 바로 마임이다.


마임은 아이러니하게 독재정권 아래서 발전하였다.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둘째 부인 맹뜨농 마담을 풍자하는 극단을 추방하고 대사 없는 공연만을 허락하였다. 18세기 영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런 배경 속에서 1700년경 무언의 판토마임형식이 탄생하였으며 ‘피에로 무언극’이 성행하였다.

우리가 잘 아는 채플린이나 마르셀 마르소는 20세기 팬터마임 연기자로 유명하다. 그들은 이전의 ‘벙어리의 연기’가 아닌 새로운 ‘침묵의 연기’라고 하여 몸짓이 단순한 언어의 대변자가 아님을 강조하면서 판토마임 예술의 존재방향을 풀이하였다.


한국에서는 70년대부터 전형적인 마임인 사사실주의적 판토마임으로부터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다. 80년대의 것은 퍼포먼스적인 마임이었으며 유진규가 개척한 마임은 현대적인 마임이다.


그러나 단순히 그의 마임을 현대적이라고만 한다면 틀린 말이다. 그는 우리 전통적인 표현법을 연구하여 한민족의 근원적이고 고유한 정신을 찾아 나서 영혼과 접맥시키려 한다. 무대에서 사용하는 것은 거창한 소품이나 도구가 아닌 촛불과 한지, 향, 정화수 등이다. 이런 상징들은 바로 우리 고유의 정신, 영혼과 잇닿아있다. 그는 또한 아무런 빛(조명)이 없는 암전 속에서 빛과 소리를 이용하여 우리의 몸을 새롭게 인식시키고 새로운 각도에서 세상을 바라보게 만든다. 유진규의 마임은 ‘현대적이면서 한국적인’ 마임이다.

그는 80년대 초까지도 장르로 인정받지 못하던 마임이라는 것을 어엿한 예술장르로 끌려 올려놓았다. 마임이라는 장르는 스포츠에서 비인기 종목만큼이나 척박하다. 90년에 ‘한국마임협의회’를 결성할 당시 회원이 고작 6명이었으며 현재도 30여 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아시아에서 유일한 ‘춘천마임축제’는 마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바꿔놓고 있다. 이건 분명 한국의 자랑이라 해야 할 것이다.

무대에 등장하는 올해 쉰 살의 그는 분명 20, 30대의 젊은이였다. 공연 뒤 비결이 뭐냐는 엉뚱한 질문에 그는 ‘무대에 서면 늙지 않는다’고 답한다.

http://16th.mimefestival.com/



  • 1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댓글 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74 남부군에는..1 Biking 2003.06.20 308
5373 일출1 Biking 2003.11.25 387
5372 축하드립니다. <<<잔차님 용섭씨 축하파티 공지>>>1 nitebike 2004.10.25 361
5371 ★무섭지 않고 적당히 빡씨게......1 진빠리 2006.05.25 402
5370 목련도...1 진빠리 2008.03.26 930
5369 동네아지씨들의 놀이문화1 nitebike 2008.04.28 1134
5368 관악산에서 뜬구름 잡기1 Biking 2008.08.26 1420
5367 사랑법 하나...1 진빠리 2003.08.27 342
5366 재미있는...1 잔차 2004.03.17 352
5365 Biking님 - 21 jekyll 2004.05.28 315
5364 눈물나는 출근길1 Biking 2005.01.21 358
5363 깊은 밤의 서정곡 - 블랙홀1 밍슈 2005.05.23 378
5362 리키님!...1 Paris 2010.06.18 2198
5361 용가리님 어데 가셨나??1 gsstyle 2006.01.28 464
5360 잘 다녀왔습니다 5...1 muj 2004.07.05 326
5359 나박의 일정1 nitebike 2005.02.07 323
5358 새해에 복 많이 받으세요.1 반월인더컴 2002.12.31 315
5357 진달래 피고 새가울~며는~1 Biking 2003.03.26 514
5356 흐르는 강물처럼1 ........ 2003.09.09 358
5355 이번에...1 반월인더컴 2004.03.17 317
첨부 (1)
유진규m.jpg
17.2KB / Download 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