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야간용랜즈 낮에 사용해도 된다? 안된다?
추천 수 ( 0 )안녕하십니까? 제가 진한 색상의 랜즈를 싫어해서 주황색의 야간랜즈를 낮에 사용하려고 검색을 해보니 리플에 된다는 분도 계시고 안된다 라고 하시는 분도 계시네요. 제 짧은 생각으론 야간용랜즈도 자외선차단 코팅이 되있고 약하니나마 색이 있어 괜찮을것 같은데... 눈이 좀 부시는거 외엔 눈에 다른 해는 없을까요? 저녁 식사 맛있게들 드십시요.
답변 (8)

UV코팅이 되어 있다면 하등 문제될게 없습니다. 한낮의 백사장이나 한낮의 설원처럼
동공이 최소로 축소되다 못해 눈을 찡그리더라도 위험할때가 있습니다만 일반적인
경우 어두우면(UV양이 적음) 동공이 확대되고 밝으면(UV양이 많음) 동공이 축소되게
되어 있습니다. 동공의 확대 축소범위를 넘어가면 너무 어두워 사물이 안 보이기
시작하고 너무 밝아 눈을 찡그려도 사물을 분간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야간용 렌즈가 주간에 사용하기엔 밝더라도(그래도 맨눈보다는 훨씬 좋습니다.)
그에 상응하는 UV코팅이 되어 있어 자외선을 차단할수 있다면 동공의 열리고 닫힘은
빛의 양에 따라 몸이 알아서 조절해서 적정 밝기의 영상을 보여주고 렌즈를 사용하지
않았을때보다 동공이 더 열릴지라도 자외선의 유입양이 적으니 문제가 없습니다.
고로 낮에 야간용 렌즈사용하면 동공이 열려 백내장이 온다는 건 말이 안됩니다.
위험한건 자외선을 차단할수 없는 진한 렌즈입니다. UV코팅이 무슨 최첨단 기술도
아니고 몇천원짜리 리어카표가 아닌 어느정도 지명도 있는 메이커 제품의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이라면 별 걱정 하실 필요 없다고 사료됩니다.
그리고 야간에는 노란 렌즈가 클리어보다 "훨씬" 더 좋습니다. 클리어 렌즈는 그냥
이물질로부터의 보호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하지만 노란 렌즈는 보호뿐만 아니라
컨트라스트를 더 높여주어 사물의 분간을 좀 더 쉽게 합니다.
동공이 최소로 축소되다 못해 눈을 찡그리더라도 위험할때가 있습니다만 일반적인
경우 어두우면(UV양이 적음) 동공이 확대되고 밝으면(UV양이 많음) 동공이 축소되게
되어 있습니다. 동공의 확대 축소범위를 넘어가면 너무 어두워 사물이 안 보이기
시작하고 너무 밝아 눈을 찡그려도 사물을 분간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야간용 렌즈가 주간에 사용하기엔 밝더라도(그래도 맨눈보다는 훨씬 좋습니다.)
그에 상응하는 UV코팅이 되어 있어 자외선을 차단할수 있다면 동공의 열리고 닫힘은
빛의 양에 따라 몸이 알아서 조절해서 적정 밝기의 영상을 보여주고 렌즈를 사용하지
않았을때보다 동공이 더 열릴지라도 자외선의 유입양이 적으니 문제가 없습니다.
고로 낮에 야간용 렌즈사용하면 동공이 열려 백내장이 온다는 건 말이 안됩니다.
위험한건 자외선을 차단할수 없는 진한 렌즈입니다. UV코팅이 무슨 최첨단 기술도
아니고 몇천원짜리 리어카표가 아닌 어느정도 지명도 있는 메이커 제품의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이라면 별 걱정 하실 필요 없다고 사료됩니다.
그리고 야간에는 노란 렌즈가 클리어보다 "훨씬" 더 좋습니다. 클리어 렌즈는 그냥
이물질로부터의 보호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하지만 노란 렌즈는 보호뿐만 아니라
컨트라스트를 더 높여주어 사물의 분간을 좀 더 쉽게 합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