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알루미늄 용접....
추천 수 ( 0 )자전거를 다 분해하고 정비하는 도중..
크렉을 발견해서..
프레임을 사기에는 너무 부담되고 용접을 할까 하는데요!!
혹시 알루미늄 용접을 전문으로 하는 곳은 없나요??
알고 계시면.. 연락처를 알고 싶습니다.
제가 사는 곳은 도봉구 창동 입니다.!!
크렉을 발견해서..
프레임을 사기에는 너무 부담되고 용접을 할까 하는데요!!
혹시 알루미늄 용접을 전문으로 하는 곳은 없나요??
알고 계시면.. 연락처를 알고 싶습니다.
제가 사는 곳은 도봉구 창동 입니다.!!
답변 (11)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산악용이나 고속의 도로 라이딩을 하신다면 절대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 ! 전 프렘 헤드 부분이 두동간 나는 사고가 있었는데요. 당신 대학 면접 보느라 헬멧도 쓰지 않았었답니다. 한달동안 병원에 입원해 있으면서, 순간적인 기억 상실증과 함께, 서너달은 머리가 띵하니 아프더군요. 얼굴도 다 까여서 2주 정도를 눈만 빼고 붕대를 감고 있었습니다. 정말 좋은 의사 선생님을 만났기에 지금은 아주 잘 살고 있습니다만, 매우 위험합니다.
저도 며칠전 프렘의 크랙을 발견하여, 잔차를 새로 내렸습니다. 크랙간 프렘의 잔차는 아버지께서 알곤 용접을 해서 생활잔차용으로 타시기로 하구요.(저희 아버지가 용접 전문가입니다.) 용접 하신 얘기를 들어보니, 용접을 잘못하면 프렘의 뒤틀림 같은 것이 발생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가 없다고 하네요. 아무 곳에나 용접을 맡기면 용접해도 아무 소용없단 얘기죠. 그리고 용접을 한다손 치더라도 그냥 살살 다니는 생활 잔차 용도가 아니라면 아무래도 위험하다고 생각되네요.. 절대 비추입니다. 사고의 위험성은 정말 사고 나 보면 뼈저리게 느낍니다. 그냥 생활 잔차로 타실 것이 아니라면 절대 용접하지 마세요 ~ ~ ! ! !
저도 며칠전 프렘의 크랙을 발견하여, 잔차를 새로 내렸습니다. 크랙간 프렘의 잔차는 아버지께서 알곤 용접을 해서 생활잔차용으로 타시기로 하구요.(저희 아버지가 용접 전문가입니다.) 용접 하신 얘기를 들어보니, 용접을 잘못하면 프렘의 뒤틀림 같은 것이 발생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가 없다고 하네요. 아무 곳에나 용접을 맡기면 용접해도 아무 소용없단 얘기죠. 그리고 용접을 한다손 치더라도 그냥 살살 다니는 생활 잔차 용도가 아니라면 아무래도 위험하다고 생각되네요.. 절대 비추입니다. 사고의 위험성은 정말 사고 나 보면 뼈저리게 느낍니다. 그냥 생활 잔차로 타실 것이 아니라면 절대 용접하지 마세요 ~ ~ ! ! !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알루미늄은 팽창계수가 커서 내부응력에의한 균열이 발생할수 있습니다.몇몇 프레임제작회사가 응력을 해소할 목적으로 요로에서 템퍼링을 300-400도 정도로 시행하는 걸로 추정됩니다. (비행기 만드는 줄 알았습니다)용접부의 결함은 템퍼링만으로 해결되는 것이아니라, 용접시에 근본적으로 균열을 방지하여야합니다.자신이 자전거를 험하게 사용한다면 교환도 생각해보아야 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용접만으로 충분한데,너무 엉성하게 용접을 하는 곳이 많아서 걱정입니다.자전거에서 제일 취약한 곳이 탑튜브쪽의 용접으로, 용접도 어렵고 힘은 제일 많이 가해집니다. 일단 어떤 원인에의하여 균열이 발생하면 그 부근에 응력이 집중하여 균열이 확장되고, 커다란 충격을 받으면 두동강이 날수 있읍니다.때때로 시각이나 숟가락등 쇠붙이로 때려서 소리로 균열여부를 확인하세요..표준적인 용접 시방서에는 균열부위를 갈아내고 ,용접부위를 덧대기 해야하지만 ...그럴 필요까지는 없을겁니다........어떤사람은 파이프로 만들기도하는데,다른 사람은 수리도 못한다면 웃읍지안나요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