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내리막길 코너링
추천 수 ( 0 )흠....
개인적으로 어느정도 실력이 됀다고 자부하고 있었는데
한번 자빠링 했습니다;;
이제 상처가 거의 다 아물어서
조만간 다시 갈까 생각중입니다
!!
내리막길.....
갑자기 불안해지는군요....
산에서의 마지막 코너였는데 거기서 뒷바퀴가 슬립...
흠흠...
이거 어떤 요령이 있는가요....
풀샥이고. 무게중심도 약간 뒤쪽으로해서 전체 밸런스를 중간보다 약간 앞으로 했었는데
코너에서의 슬립.....
어찌 해야하나요;;
바퀴는 2.2 엔듀로 스포츠 입니다
조언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s
넘어질때 클릿이 발을 붙잡고 질질질..... 큭... 아펐습니다 ㅜㅜ
개인적으로 어느정도 실력이 됀다고 자부하고 있었는데
한번 자빠링 했습니다;;
이제 상처가 거의 다 아물어서
조만간 다시 갈까 생각중입니다
!!
내리막길.....
갑자기 불안해지는군요....
산에서의 마지막 코너였는데 거기서 뒷바퀴가 슬립...
흠흠...
이거 어떤 요령이 있는가요....
풀샥이고. 무게중심도 약간 뒤쪽으로해서 전체 밸런스를 중간보다 약간 앞으로 했었는데
코너에서의 슬립.....
어찌 해야하나요;;
바퀴는 2.2 엔듀로 스포츠 입니다
조언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s
넘어질때 클릿이 발을 붙잡고 질질질..... 큭... 아펐습니다 ㅜㅜ
답변 (6)
잘은 못하지만 "무게중심도(은) 약간 뒤쪽으로해서 (느낌은)전체 밸런스를 중간보다 약간 앞으로..." 요거 딱 맞게 하신거 같은데염.^^
다만 속도가 넘 빨랐다던가 그래서 코너링시 브레이크를 잡으셨던가 아니면 자전거를 뉘일때 발란스가 깨졌을 수도 있겠네요.
코너 전방에서 충분한 브레이킹하구, 코너링에 들어가면 브레이킹을 않하고...
뒷바퀴 슬립이야 뭐 애교죠! 종종 이용도 하니까요.^^
그런데 너무 과도하게 웨이백해서 앞바퀴 슬립나면 대책없죠.
이상은 하드텔로 임도 다운할때 제가 쓰는 방법이었슴돠.
풀샥은 뭐가 좀 다를라나요???
다만 속도가 넘 빨랐다던가 그래서 코너링시 브레이크를 잡으셨던가 아니면 자전거를 뉘일때 발란스가 깨졌을 수도 있겠네요.
코너 전방에서 충분한 브레이킹하구, 코너링에 들어가면 브레이킹을 않하고...
뒷바퀴 슬립이야 뭐 애교죠! 종종 이용도 하니까요.^^
그런데 너무 과도하게 웨이백해서 앞바퀴 슬립나면 대책없죠.
이상은 하드텔로 임도 다운할때 제가 쓰는 방법이었슴돠.
풀샥은 뭐가 좀 다를라나요???
발랜스 유지가 가장 중요한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못지 않게 브레이킹 요령 또한 중요 하다고 생각 되네요.
경사각이 큰 내리막에서 뒷바퀴에 제동을 걸면 당연히 슬립이 나게 됩니다.
앞, 뒤에 적당한 비율로 제동을 걸어 주어야 하지요.
앞 브레이크는 제동, 뒷 브레이크는 감속의 기능이 강합니다.
뒷브레이크만 잡으면 뒷바퀴가 좌우로 흔들리며 슬립이 나고,
앞브레이크만 잡으면 당연히 앞으로 전복이 되겠지요.
몸의 균형은 경사 각 만큼 뒤쪽으로 두시고 앞브레이크를 70%, 뒷 브레이크 30%정도의 감으로 브레이킹을 하신다면 좀 더 안정적인 다운이 이루어 질것이라 생각 됩니다.
그러나 못지 않게 브레이킹 요령 또한 중요 하다고 생각 되네요.
경사각이 큰 내리막에서 뒷바퀴에 제동을 걸면 당연히 슬립이 나게 됩니다.
앞, 뒤에 적당한 비율로 제동을 걸어 주어야 하지요.
앞 브레이크는 제동, 뒷 브레이크는 감속의 기능이 강합니다.
뒷브레이크만 잡으면 뒷바퀴가 좌우로 흔들리며 슬립이 나고,
앞브레이크만 잡으면 당연히 앞으로 전복이 되겠지요.
몸의 균형은 경사 각 만큼 뒤쪽으로 두시고 앞브레이크를 70%, 뒷 브레이크 30%정도의 감으로 브레이킹을 하신다면 좀 더 안정적인 다운이 이루어 질것이라 생각 됩니다.
님의 글을분석해보니 제가보기엔 신체의 업다운테크닉이 부족하신것 같군요
산에서 다운시 모습을 보면 어떤사람은 상당히부드럽게 어떤사람은 뻗뻗하다는
느낌을 줍니다
신체체중의 업다운변화를 주지못해서 코러닝시 부드러운 굴곡을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로 이어지는것 같읍니다
이렇게 연습해보십시요
코너에 들어가기 전 직선주행에선 체중을 낯추어 안전감을 높이고 팔꿈치를 이용하여
업다운을 조정하세염,
즉, 팔을 굽혀 체중을 낮추고 코너에 접근 하란애깁니다.
코너에 들어가기 바로전엔 팔꿈치를 살짜펴서 체중을 업 시킵니다
이것은 체중을 변화 시키기전 뉴트럴 포지션 말하자면 중립상태로 만들기위한것 입니다
업에서 바로 팔꿈치를 굽히고 상체를 낮추어 다운으로 변화를시키며 코너에 들어갑니다
코너를 2/1 통과했을때 팔꿈치를 펴주면서 코너를 빠져 나옵니다
코너 통과후 다시 팔꿈치를 약간굽혀 가벼운 다운자세로 진행합니다
이렇게 적절한 업 다운의 자세로 코너링을 연습하면 빠르고
안전하게 통과 할수있도록 도와줍니다
산악잔차를 많이 접한사람을 보면 이러한 자세가 숙련이되어 반사신경에의해
갑작스런 코너를 맞이하더라도 자연스럽게 대처하게 되더군요^^
윗분들의 글을 종합하여 병행하시고
안전라~딩하세요
잔차실력 꽝인넘이 이론만 알아가꿍 몇자 적어봤읍니다 ~ ㅋㅋ
산에서 다운시 모습을 보면 어떤사람은 상당히부드럽게 어떤사람은 뻗뻗하다는
느낌을 줍니다
신체체중의 업다운변화를 주지못해서 코러닝시 부드러운 굴곡을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로 이어지는것 같읍니다
이렇게 연습해보십시요
코너에 들어가기 전 직선주행에선 체중을 낯추어 안전감을 높이고 팔꿈치를 이용하여
업다운을 조정하세염,
즉, 팔을 굽혀 체중을 낮추고 코너에 접근 하란애깁니다.
코너에 들어가기 바로전엔 팔꿈치를 살짜펴서 체중을 업 시킵니다
이것은 체중을 변화 시키기전 뉴트럴 포지션 말하자면 중립상태로 만들기위한것 입니다
업에서 바로 팔꿈치를 굽히고 상체를 낮추어 다운으로 변화를시키며 코너에 들어갑니다
코너를 2/1 통과했을때 팔꿈치를 펴주면서 코너를 빠져 나옵니다
코너 통과후 다시 팔꿈치를 약간굽혀 가벼운 다운자세로 진행합니다
이렇게 적절한 업 다운의 자세로 코너링을 연습하면 빠르고
안전하게 통과 할수있도록 도와줍니다
산악잔차를 많이 접한사람을 보면 이러한 자세가 숙련이되어 반사신경에의해
갑작스런 코너를 맞이하더라도 자연스럽게 대처하게 되더군요^^
윗분들의 글을 종합하여 병행하시고
안전라~딩하세요
잔차실력 꽝인넘이 이론만 알아가꿍 몇자 적어봤읍니다 ~ ㅋㅋ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