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MTB 용 crank wheel의 톱니 갯수?
추천 수 ( 0 )MTB를 rode 용으로 꾸미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MTB용 crank wheel의 톱니갯수는 22T- 32T- 44T와 24T- 34T- 46T가 있는 걸로 알고 있읍니다.
이보다 더 많은 톱니 갯수가 있는 가요?
어디에서 구입합니까?
고수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일반적으로 MTB용 crank wheel의 톱니갯수는 22T- 32T- 44T와 24T- 34T- 46T가 있는 걸로 알고 있읍니다.
이보다 더 많은 톱니 갯수가 있는 가요?
어디에서 구입합니까?
고수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답변 (5)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48/36/24 사용잡니다. 48t 사용시 1단 표준은 26t이지만 전 오르막을 위해 변속감을 양보하고 24씁니다. 로드 주행시 48-11t 충분히 활용성 있습니다. 산악과 달리 도로에서 내리막 쏠때 60km 전후의 속도가 어렵지 않게 나오는데(강심장이어야 하지만.ㅋㅋ) 44t로는 부족합니다. 사이클 컴팩트사이즈로 50t나 48t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산악용은 사이클과 달리 휠 구경이 작아 단순기어비 조합만의 비교는 불가합니다. 큰 체인링 사용시 중요한 것은 스프라켓 9단을 11t로 하셔야 합니다. 11과 12t의 차이는 44와 48t의 비율과 동일합니다. 즉 44-11 조합과 48-12 조합의 기어비는 동일하다는 거지요(무게만 무겁고~).. 저의 경우 로드에서는 1~3단보다 27~9단의 사용이나 효용이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로드가 주 목적이 아니고, 타이어도 로드용,적어도 1.75 이하의 세미로드가 아닐 경우 속도도 잘 안나거니와 버겁기도 하고 목적과도 맞지 않으리라 생각되는군요. 겨울엔 세미로드, 여름엔 로드용이면 좋습니다.
![](/modules/kin/skins/xe_kin_official/img/default_profile_pic90.png)
로드용 크랭크와 산악용 크랭크는 흔히 호환해서 사용하지만 약간의 간격차이가 있는 것으로 압니다. (실제 산악 변속기에다 로드 크랭크 달면 변속 세팅도 어렵고 변속감도 안좋더군요.. 로드용 트리거레버 따로 나옵니다. 시마노에서도...) ) MTB 로드용 꾸민 것과 사이클과는 라이딩자세와 느낌, 안정성 등등 수많은 부분이 다릅니다. 가격도 사이클, 만만치 않습니다. 전 울나라 자전거시장(부품수급) 및 도로여건상 사이클보다는 로드용으로 세팅된 MTB를 선호합니다. 로드용으로 세팅하시는데 혹시 궁금하신 부분이 있다면 쪽지 보내주세요. 미천한 경험이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드리겠습니다.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