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결 안된 질문

mtb의 현 문제점...

hilove620 2006.03.09 00:30 내공 포인트
추천 수 ( 0 )
과제를 하고 있습니다...

디자인 문제점 1000가지... ㅜㅜ

어떻게 된게 잔차 쪽으로 계속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네요 ㅋㅋ

님들도 저를 도와주세요...

불편하거나 개선되야 할점을 리플좀 달아주세요^^a

목록 답변등록

답변 (22)

boyom 2006.03.09 00:33
주차가 예매하다.(스탠드미부착)
0
hilove620 2006.03.09 00:44
우와 감사합니다 첫글이네요 ㅎㅎ
0
2006.03.09 00:56
같은 차종이라도 사이즈가 가장 작거나 가장 크게 갈수록 프레임 지오매트리가 표준값에서 크게 벗어나는경우가 많음...
0
eshl2000 2006.03.09 01:14
밖에 주차할경우 고가이다보니 도난에대한 불안감.
0
frogfinger 2006.03.09 01:23
클릿페달이 달려있는경우 마실나갈때 슬리퍼 신고타면 발과 페달이 따로논다.. 에그비터 페달은 거의 롤러 수준.. ㅡ.ㅡ;;
0
misony132 2006.03.09 01:51
잔차 타이어가 10만원이 넘는다 이야기하면 웃기시내 하는 카센터 아저씨의 웃음 소리
0
hilove620 2006.03.09 02:10
웃기시내 압박입니다요^^
0
웰빙페달 2006.03.09 03:18
지름신이 뜨면 밤에 잠이 안온다!
0
lws08864 2006.03.09 08:44
생활잔차와 비교시 고가의 잔차라 잘못하여 넘어지기라도 하면 때에 따라 상당한 금액손실 발생되고, 마음이 쓰리고, 잠도안오고, 나중에 중고로 팔경우 가격이 엄청나게 다운된다.
0
hwh0819 2006.03.09 09:03
와이프와의 충돌..... 개인적으로 가장큰 과제이네요...ㅋㅋㅋ
0
산오리 2006.03.09 09:17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문제점들 중 하나는 특성상 MTB는 산에서 잘 넘어지게 되는데 이경우 뒷드레일러가 잘 망가지는 문제점이 있네요..
0
rickyoh56 2006.03.09 09:29
장거리 주행후 힘빠져 집에 돌아가다가 따라붙은 철티비에게 추월당할때.. 철티비 운전자가 힐끔 돌아보고 가버릴때 ㅠ.ㅠ 속으로 비싼게 느려터졌네 ㅋㅋㅋ 하겠죠?? ㅠ.ㅠ
0
rickyoh56 2006.03.09 09:44
참고로 전 여자분한테 당했어요 ㅠ.ㅠ 참.. 뭐시기.. ㅠ.ㅠ
0
soulcraft 2006.03.09 10:08
배보다 배꼽이 더 큰 MTB..
0
noaccident 2006.03.09 10:54
자동차 1000만원과 mtb 1000만원을 비교해보면...
고가의 장비를 가진 걸 프라이드로 생각지 않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생각하게 된다. 거품이 너무 많다는 걸
0
twinsy 2006.03.09 11:19
생활잔차와 달라서 엉덩이의 단련이 필수적이다. 몸에 맞는 안장구하기가 어려워요...
0
물건큰넘 2006.03.09 11:46
MTB의 문제점은 너무 많습니다.
첫번째 - 엄청남 가격(거품이 상당한듯)
두번째 - 부가장비가 많고(아마도 헬멧부터 제대루 갖출려면 20가지도 넘죠?)
세번째 - 국산품 애용문제(국산품도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외제가...)
네번째 - 갈수록 MTB의 M은 사라질 위기에 직면할수도...
다섯번째 - 휴일 가정에 소홀.
여섯번째 - 부익부 빈익빈현상이 심한점등...
(지극히 저의 개인생각입니다.)
* 디자인에대한 문제가 아니라서 지송합니다.
0
xc 2006.03.09 12:22
1. 페달과 크랭크의 위치가 효율적이지 않은듯, 페달질을 할때 힘을 쓰기에는 발로 누르는 힘이 가장강한데 현 페달위치는 앞으로 비스듬히 미는 힘을 받도록 잘못 설계됨...
2. 핸들바의 모양에도 문제....손잡이(그립이) 진행방향으로 되어 있어야 조향에 유리하나 현재는 목표방향에 수직으로됨
.... 말 되나?
0
다리 굵은 2006.03.09 12:35
#헤드셋 1 : 프레임이 비싸건, 싸건 장착시 압입, 해체시 타격에 의하므로 프레임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BB와 같이 장착/해체공구가 같아야하고, 나사에 의한 체결을 하도록 해야함. (BB와 같은 형태로 가능)

#헤드셋 2 : 헤드셋 레이스의 경우도 압입조립인데, 조립 전용공구라는것이 타격공구이다. 또한 풀러는 그 사용용도에 비해 너무나 거창하다.(비싸다.)

#타이어 : 튜브리스 타이어가 높은 성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가벼운 튜브리스 타이어가 없다.

#외관 : 아직까지는 외관을 중요시 여기는 메이커가 드물다.(물론 성능만 나오면 되겠지만, 이쁘고 성능이 나오게 해야한다.)

#페달 : 비싼 제품이 아니고선 육각렌치를 이용할 수 가 없어서, 얇은 스패너를 구입해야 하는경우가 많다......................

더 생각하면 나오겠지만....이쯤에서 접고.....진~~짜 중요한...

모든 부품들의 수치는 ISO규격화 해야 한다. INCH는 가능한 쓰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부품들의 공용화가 필요하고, 가능한 일정단위로 부품들의 사이즈가 정해져야 한다.(특히 BB 및 체인가이드, 크랭크의 조합에서....)
^^*)



0
에고이스트 2006.03.09 15:26
진짜 크라운 레이스는 좀 통일되었으면...
0
cky9199 2006.03.09 20:36
모든 잔차부품의 표준규격을 두자니 특성이 사라지고 기술경쟁력도 없어지고 그렇다고 특별한 규격과 기능을 체용한 부품을 장착하자니.....호환성이 떨어지고 -0-
0
민이 2006.03.09 22:44
디자인에대해서라..........음 매년 연식에따른 데칼이 바뀌기때문에 이것또한 지름의 원인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전체적인 디자인을봤을때 유명선수들의 그것과 많이 닮아간다는것도 있는듯 합니다.모방심리라 해야하나요^^ㅋㅋ
0

aliaff20210323.jpg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