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된 질문
휠빌딩에 대하여 질문.. 좀 색다른 휠빌딩입니다.
추천 수 ( 0 )DT black supercomp spokes on the high tension side of each wheel and DT Revolution spokes on lower tension (non-drive rear, non disc front) side of each wheel.
이거 해석좀 부탁드릴께요.
짧은 실력으론 수퍼콤프 스포크를 강한 텐션으로 앞,뒤 한쪽면만 셋팅하였고
레볼루션 스포크를 낮은 장력으로 뒷바퀴는 구동계열이 없는쪽(왼쪽면)에 셋팅하였고
앞바퀴는 디스크 갤리퍼가 없는 오른쪽 한쪽면만 셋팅하였다.
제가 해석한게 맞나요? 그니까 양바퀴 모두 2종류의 스포크를 1쪽면씩만 해서
바퀴하나에 2종류의 스포크가 서로 한쪽면씩 셋팅되었다는거..
수퍼 콤프 스포크는 레볼루션보다 좀더 튼튼하고 무게가 좀더 나가는군요..
컴페티션 과 레볼루션 사이에 있는 제품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함으로서 얻는 이득이 뭔가요.
참고로 이 휠셋의 주인은 미국에 XC 레이싱 대회에 자주 참가하는 상급자입니다. 프로선수는 아닌거 같구요.
이거 해석좀 부탁드릴께요.
짧은 실력으론 수퍼콤프 스포크를 강한 텐션으로 앞,뒤 한쪽면만 셋팅하였고
레볼루션 스포크를 낮은 장력으로 뒷바퀴는 구동계열이 없는쪽(왼쪽면)에 셋팅하였고
앞바퀴는 디스크 갤리퍼가 없는 오른쪽 한쪽면만 셋팅하였다.
제가 해석한게 맞나요? 그니까 양바퀴 모두 2종류의 스포크를 1쪽면씩만 해서
바퀴하나에 2종류의 스포크가 서로 한쪽면씩 셋팅되었다는거..
수퍼 콤프 스포크는 레볼루션보다 좀더 튼튼하고 무게가 좀더 나가는군요..
컴페티션 과 레볼루션 사이에 있는 제품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함으로서 얻는 이득이 뭔가요.
참고로 이 휠셋의 주인은 미국에 XC 레이싱 대회에 자주 참가하는 상급자입니다. 프로선수는 아닌거 같구요.
답변 (3)
짧은 영어실력으로 제가 이해한 것으로 말씀드리면,
강한텐션으로 한쪽 사이드를 세팅했다는 말이 아니구요...
원래, 구동계열이 달린 오른쪽 스포크는 비구동측인 왼쪽 스포크장력 대비 강하게 세팅됩니다. 이유는 스프라켓을 장착하기 위해 서로다른 길이와 서로 다른 장력으로 장착하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위 사람이 이렇게 세팅한 이유는
이러한 장력의 좌우 사이드의 갭을 극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스포크를 사용했다는 말이 됩니다. 제대로 된 모든 휠빌딩은 좌우 장력과 스포크 길이는 다릅니다. 하지만 이렇게 했다고 해서 그 갭을 극복했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단지 자신의 논리로 그렇게 했을 것 같네요. 그래서 이득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어쨌거나 의미를 따지자면,
강한 장력으로 세팅하는 구동측 스포크는 DT수퍼콤프 스포크를 사용하였고
상대적으로 약한 장력으로 세팅되는 비구동측 스포크는 DT레볼류션을 사용했다는 뜻이 되네요.
강한텐션으로 한쪽 사이드를 세팅했다는 말이 아니구요...
원래, 구동계열이 달린 오른쪽 스포크는 비구동측인 왼쪽 스포크장력 대비 강하게 세팅됩니다. 이유는 스프라켓을 장착하기 위해 서로다른 길이와 서로 다른 장력으로 장착하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위 사람이 이렇게 세팅한 이유는
이러한 장력의 좌우 사이드의 갭을 극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스포크를 사용했다는 말이 됩니다. 제대로 된 모든 휠빌딩은 좌우 장력과 스포크 길이는 다릅니다. 하지만 이렇게 했다고 해서 그 갭을 극복했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단지 자신의 논리로 그렇게 했을 것 같네요. 그래서 이득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어쨌거나 의미를 따지자면,
강한 장력으로 세팅하는 구동측 스포크는 DT수퍼콤프 스포크를 사용하였고
상대적으로 약한 장력으로 세팅되는 비구동측 스포크는 DT레볼류션을 사용했다는 뜻이 되네요.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