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결 안된 질문

유압브레이크 단동식과 복동식의 차이....

twins3333 2007.03.30 11:51 내공 포인트
추천 수 ( 0 )
제가 어제 카센타에 가서 라이닝을 교체하는데 잔차의 유압브레이크 생각이 나서
고치는 기사와 몇마디를 나눴습니다...
헌데 자동차 앞브레이크는 단동식이였습니다...의외였습니다...
제가 궁금해서 물어봤습니다..복동식을 하면 브레이크가 더 잘듣고 좋지 않냐고
했더니 자동차 만드는 사람들이 그런것 까지 생각을 안했겠냐고 하더군요...
피스톤이 한쪽만 밀어줘도 브레이크 작동에는 아무문제없다고 했습니다...
제 잔차에 브레이크가 데오레 유압인데 켈리퍼에 피스톤이 한쪽으로 쏠려서 나온다고 했더니 복동식의 문제가 그것이라고 합니다...물론 브레이킹성능은 좋을지 모르지만
좀 쓰다보면 피스톤이 한쪽으로만 치우쳐서 나오기 때문에 로터가 한쪽패드에 닿아서 굴림성에 지장을 준다고 합니다...
그래서 굳이 몇십만원이나 하는 복동식 유압브레이크를 써야하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잔차의 구조상 복동식을 많이쓰는지 아님 단동식을 쓰면 그런 문제는 없는지
회원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목록 답변등록

답변 (17)

sapoint 2007.03.30 12:47
^^ 비교를 해드릴께요..
생활 자전거= 일반 자동차
MTB=전문 산악용 4WD 자동차
싸이클 =스포츠카
자동차용도 비싼 브레이크(레이스용?)는 복동식 6피스톤 8피스톤 씩 됩니다..
단지 그런 브레이크를 일반 자동차에 까지 장착할 필요는 없겠죠..

생활 잔차에 유압 XTR혹은 XT 를 달을 필요가 있을까요?
MTB 처럼 산에서 미친듣이 질주도 안하고 설설 타는데..

그런거 처럼 일반 도로만 설설 달리는 자동차에 MTB 로 따지만 XT 급 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요할까요? 레이스도 안뛰는데..

현제 대부분 동호회 분들이 타시는 MTB 정도라면 자동차로 따지면
아마추어 레이싱 카? 혹은 투어링 레이싱카 와 비교를 해야 비슷한 급이죠..

MTB 의 경우 생활 자전거와 는 비교도 안되는 혹독한 상황에서도 제 성능을 내야 되니
모든 시스템이 생활자전거와 비교했을때 엄청난 고성능의 시스템을 사용하는거에요..

생활자전거 7만원 입문?MTB70 ? 이렇게만 해도 10배의 가격차이..
그렇담 2천만원 짜리 세단 --->2억짜리..? 컥...-_-;;

어쨋든 대충 이런 상관 관계니 그냥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0
hjh205 2007.03.30 13:21
..자동차 정비사는 기능공으로써 자동차 설계에대한 지식은 별로 없습니다. 단동식은 피스톤이 한쪽만 나오는 타입이고 복동식은 양쪽에서 나오는 타입입니다. 피스톤 갯수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단동식은 옛날의 르망이나 티코??에 사용된다고 알고있습니다. 일단 크기와 무게가 2배는 차이 나니까 그냥 보면 어떤 타입인지 알 수 있습니다.(성능 더럽습니다) 그리고 자전거는 모두 단동식입이다 . 디스크를 정면으로 보고 양쪽이 같이 뛰어 나왔으면 복동식입니다. 자전거는 휠쪽으로 얇습니다. 피스톤 갯수가 4개인 것은 무거운 대형 승용차에서나 필요하고 제조나 관리가 부실하면 ....아주 곤란해집니다.
0
@@ 2007.03.30 13:51
자전거의 디스크브레끼는 50%이상이 복동식(오늘 처음 들었어요 ^_^;;)입니다.
물론 mtb용을 말한것이고
패드가 넓은 2피스톤방식이 있거나 패드의 높이가 작은대신 4피스톤방식이 있죠.
저항은 면적과 비례하는 문제이므로 4피스톤이던 2피스톤이던 큰 의미는 없는듯 합니다.
(자전거용 호프에서 나온 6피스톤도 있구요)

그런데 궁금한건요 단동식(?) 자전거 디스크브레끼야 로터가 얇으니 가능하겠으나
자동차용 로터는 엄청 두껍지 않나요? 한쪽만 밀어도 아무튼 로터가 움직여 나머지 한쪽에도 닿게 되야 할텐데 그 두꺼운놈이 밀리나요?(제가 자동차 메카니즘을 거의 몰라서요)

아무튼 복동식의 장점이 단동식에 비하여 패드와 로터사이의 힘전달이 깔끔해지니
더 유리한점이 있지만 역시 양쪽 피스톤에 같은 힘이 들어가지 않으면 패드가 로터에 닿게 되는 단점은 있죠.(닿는다고 구동력이 크게 떨어지는건 아닙니다.)
0
곤잘레스 2007.03.30 16:05
자동차(또는 오토바이)의 단동식 캘리퍼는 자전거 캘리퍼처럼 완전히 고정되어 있지 않고, 캘리퍼에 좌우로 어느정도 유격이 있습니다. 그래서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두꺼운 로터에도 단동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암튼...자전거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중, 마구라 구스타프M이 오토바이의 단동식 브레이크와 구조가 유사 합니다.

단동식보다 복동식이 유리한 점은...제동력의 증가 입니다.
파스칼의 원리에 의해...
1의 면적의 피스톤이 하나가 달린 단동식 브레이크 A와 1의 면적을 가진 피스톤 2개가 달린 복동식 브레이크 B에 각각 피스톤 면적이 1인 브레이크 레버 F에서 2의 힘으로 레버를 잡았을 때, A에 비해 B의 피스톤 면적이 2배 이므로, B는 4의 힘이... A는 2의힘이 낼 수 있습니다.
0
@@ 2007.03.30 16:35
아하~ 자동차는 켈리퍼가 움직이는 군요. ^_^

그런데 단동식(익숙하지 않은 용어라 좀 어색하네요 ^_^;;)이라 하더라도
패드가 한면만 붙는건 아니죠.
단지 한쪽에서 민다는게 다를뿐 저항면은 양면이잖아요
(자동차는 잘 모르겠고 자전거는 그러함)

단지 한쪽에서 밀어 양쪽을 밀착시키는 방식이라 패드 유격이 커지니
아무래도 순발력에선 좋지 않지 않을까?싶습니다만 단지 저의 생각일뿐입니다. ^_^;;

또한 한쪽에서만 일방적으로 밀어 앞착하기때문에 반대편(고정패드)과 로터간의 압착력이
좀 떨어지기때문에 역시 제동력에서 좋지 않겠죠.

그리고 유류속도는 감소 그리고 압력은 증가
결론은 레버에서 당기는 힘과 켈리퍼 피스톤이 패드를 미는 힘 차는 제로입니다.

위 피스톤이 두개라는것은 미는 힘이 두배가 되니 두배의 제동력을 갖는다는것이지
한개짜리와 같은 힘을 반으로 나누어 두개를 미는 힘은 당연히 아니죠..
이것을 보안한것이 피스톤 하나짜리가 1cm를 움직인다면 두개짜리는 5mm씩만 움직이게 해서 압력을 두배로 증가시키게 제작됩니다.

이러 하던 저러하던 레버에서 가하는 에너지와 켈리퍼에 가해지는 에너지는 동일합니다.
0
twins3333 2007.03.30 16:42
정말 많은것을 배웠습니다.....여러 회원님들의 답변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0
hjh205 2007.03.30 17:13
....단동식(프로우팅 타입)은 피스톤이 한쪽에서 밀고 다른 쪽이 딸려들어오는 것이고 복동식(대향 피스톤 방식)은 피스톤이 양쪽에서 두개의 피스톤이 디스크를 미는 것입니다.
피스톤의 갯수는 패드가 길어질때 제동압력의 불균형을 제어하기 위하여
갯수를 늘리는 경우가 있으나 디스크와 패드의 간격이 1/2,1/3으로 줄어들어 캘리퍼의 제조와 관리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피스톤 4개라고 복동식이 아니고 자전거에 복동식은 필요가 없는 사항입니다.
0
hjh205 2007.03.30 17:18
복동식은 피스톤이 양쪽에 있기 때문에 디스크를 중심으로 그 두께가 거의 비슷합니다. 지나가면서 자동차 휠 안쪽으로 디스크 켈리퍼를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분면히 말하지만 자전거에는 복동식 없습니다. 그것은 스포크와 디스크의 간격이 적기 때문입니다. 오토바이도 마찮가지입니다.
0
곤잘레스 2007.03.30 17:39
hjh205님께서는 자전거용 어느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를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시*노 저가형 DEORE부터 XTR까지 모두 위에서 말씀하신 복동식 캘리퍼 입니다.("복동식(대향 피스톤 방식)은 피스톤이 양쪽에서 두개의 피스톤이 디스크를 미는 ") 물론 시마노 뿐만 아니라 헤이*, 아*드, 호*, 포뮬*, 마*라, 등등등등등.... 단동식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는 거의 생산 하지 않습니다.
그나마 주변에서 쉽게 볼수 있는 단동식 모델은 완성차 OE 파츠로 주로 장착 되는 헤이* 의 SOLE 이라는 모델이죠...
0
sefo 2007.03.30 19:27
자전거의 디스크브레이크는 신속 정확한 제동 포인트가 중요하지 얼마나 강한 제동력이 필요하느냐가 중요한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자동차는 자전거와는 달리 몇톤의 차체 중량과 수십 수백의 말의 힘과 맞먹는 엄청난 엔진의 힘을 견뎌내고 제동을 해야 하니까요..
0
sefo 2007.03.30 19:35
그리고 시중의 '거의' 모든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는 복동식입니다. 짝수의 피스톤이 양쪽에서 디스크 로터를 잡는 구조이죠.^^
그리고 일반적인 자동차 브레이크 캘리퍼는 디스크(?)와 항상 접촉해 있다고 들었는데..아닌가요? ㅎㅎ;
0
moonandlove 2007.03.30 23:49
제가 쓰는 데오레 유압도 복동식인데
"분면히" 없다면...........뭘까요?
0
토마토 2007.03.31 00:48
hjh205님과 곤잘레스님의 말이 어떤의미로는 다 맞다고 생각 됩니다. 일반적으로 피스톤에서 단동피스톤이란 유압이 들어가는 방향이 하나인 경우를 단동 피스톤이라고 합니다.(리던은 자중이나 스프링으로 하지요.) 복동피스톤은 실린더를 밀어주는 쪽과 들여보내는 쪽에 유압이 모드 들어가는 구조로되어 밸브로 방향을 전환해 주면 확장과 축소가 됩니다. 그러므로 hjh205님의 말씀은 일반적인 유공압에서 말하는 실린더의 개념에서는 캘리퍼의 구조는 단동식피스톤이 맞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자전거 캘리퍼에서는 단동과 복동의 의미가 단동인 경우는 로터에 직각장향으로 밀어주는 피스톤이 한쪽에서만 밀어주는 경우를 단동식이라하고, 시마노처럼 로터에서 양쪽방향으로 밀어주는 방식을 복동식이라고 합니다. 아마 이런 의미에서 두분의 이견이 생긴것은 아닌가 합니다. 전 두분다 맞다고 생각 되는데요.
0
@@ 2007.03.31 01:09
토마토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으로 좀 뒤져봤는데요(이말이 생소해서 좀 찾아봤습니다. ^_^:;
입출구가 있다는것만으론 단복동식을 나뉘는건 아닌듯 하네요

자전거의 피스톤의 리턴은 스프링으로 하는것이 아니라 레버에서 브레이크액을 당기죠
그것으로 피스톤이 들어가게 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단지 벨브역활을 레버에서 같이 하게 되어있는 구조인데 자전거의 경량화때문이 아닌가 싶구요.

만약 스프링이나 자중같은것으로만 리턴 된다면 피스톤은 항상 끝까지 들어갈겁니다.
이 컷팅은 레버에서 일정량의 액만 당기고 그 이상은 레버오일탱크에서 채워주는 구조로
패드의 마모와는 관계없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켜줄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기술이죠.

이런면에서 보더라도 복동식이 맞을듯 하네요..
0
토마토 2007.03.31 01:54
단동 복동은 제가 임의로 한것은 아닙니다.
유공압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분류 입니다.

스프링이라고 하여 무조건 끝까지 미눈 구조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시마노 디스크패드에 끼워주는 스프링역시 패드를 벌려주는 기능을 하지만
피스톤을 끝까지 밀어주는 않습니다. 이런것은 기구적인 설계를 통해서
제어해 줄 수 있는 항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스프링이 꼬옥 물리적인 스프링만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피스톤을 리턴시켜주는 물체나 요인 정도로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자중, 압력차이등..)

그리고 제가 알고 있는 것과 조금 다른 것이 있는데,
레버에서 브레이크 액을 당긴다고 하셨는데, 제가 알기로는 압력을 릴리이즈 해주는
것뿐입니다. 레버를 당기면 피스톤에 압력이 가해지고 레버를 놓으면 압력이 풀려서
약간뒤로 물러나는 것이지 압력을 거꾸로 주어서 피스톤을 빼내지는 않지요.

그리고 패드사이의 간격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 시켜주지 못합니다.
패드가 많이 닳면 그만큼 브레이크의 깊이도 더하게 되지요. (시마노)
그차이가 미약해서 별로 느끼지 못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패드사이에 스프링 때문에도요.
(근데 이거 없어도 작동은 됩니다. ^^;;;)

제가 잘못알고 있다면 수정 바랍니다.
0
joinoon 2007.03.31 10:14
흠......새벽 두시까지 안주무시고.......토마토님...... ㅎ
0
@@ 2007.03.31 11:34
간단하게 시험해볼수 있는 품목이 있는데
레버에서 튜명호스를 꼿로 레버를 당겼다가 놓아보시면 일정량이 들어가다가 멈춰집니다.
하지만 레버를 당길때는 레버 끝까지 오일이 호스를 통해서 나옵니다.

이것은 레버를 당길적엔 패드의 마모에 따라 켈리퍼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이고 레버를 놓게 될때 레버의피스톤은 미량의 브레이크 액을 당기므로서 피스톤을 당기게 됩니다. 패드 사이에 스프링이 있는건 피스톤을 밀기위함이 아니고 패드가 피스톤에 붙에 하기 위함이죠.
(패드 스프림이 없으면 패드가 덜그덕 거려 칼가는 소리가 더 잘 납니다. ^_^;;)

레버의 압력이 풀려서 피스톤이 살짝 벌어진다면
레버를 통통 튕기면 그만큼 적게 피스톤이 들어가야 하지만
레버를 튕기나 어떻게 하나 거의 일정량의 피스톤이 들어갑니다.

아무튼 복동식이란것을 찾아보고 토마토님께서 말씀하신것을 토대로 추론(?) 해보면
doubleaction(복동식)이 맞는듯 합니다. ^_^
0

aliaff20210323.jpg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