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자 잘 아시는분.... 이 글자는 어떻게 읽는지...

bluebird2010.01.07 15:14조회 수 1434댓글 14

  • 1
    • 글자 크기


* 답변 올라오면 지우겠습니다.

 

what.jpg

찍힌 도장을 읽을수 없어서 질문 올립니다.  무슨자인가요?



  • 1
    • 글자 크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by 하얀미소) 이제는 야인이 되었습니다.^^ (by 말발굽)

댓글 달기

댓글 14
  • 印(인) 자로 보이는데요
  • 목수님께
    bluebird글쓴이
    2010.1.7 21:31 댓글추천 0비추천 0
    印 자는 아닙니다.  사진에 올린 글자 좌측에 印이라고 찍혀 있습니다.
  • 도장 가게 가서 물어보시면 바로 아실 거 같습니다.

    해서니 초서니 하는 글자는 웬만한 사람이 알기 힘들죠...

    그래서 중국도 다 버리고 간체로 가고 있잖습니꺼?^^

  • 仁(어질인)자 아닌가요???
  • 도장에 쓰이는 글은 전서라고 한다네요.

    짝항(伉) 같다고 하는데 위에 점이 없어서...

  • 전각에서...,

    좌변방, 뚫을 곤 ㅣ 또는 사람 인人을 저렇게 새길 수 있는데,  ㅣ은 좌변방에 올 수 없습니다.  고로 사람 人

    우변 상은 점, 또는 한 일一이고,

    우변 하는 한 일一, 또는 어진 사람 인(왼쪽 다리와 오른쪽 다리가 붙었는지 여부가 불분명합니다.  떨어졌다면 어진사람 인입니다), 또는 안석 궤(붙엇다면 궤입니다)입니다.

    따라서, 인仁 또는 올兀, 또는 범凡이 가능합니다.

    일단 仁으로 보는 게 무난하겠으나,

    이름 지으신 분이 각별한 뜻을 갖고,

    兀 좌변에 사람 人을 붙여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凡의 점을 위로 올리고 좌변에 사람 人을 붙여 쓰는 게 가능합니다.

    .

    특히 작명의 경우, 이름 字 좌변에 人, 王 등을 더러 붙이기도 합니다. (이 경우  옥편에서 확인 못합니다.  그래서 출생신고 접수를 안 받습니다마는, 족보 따로 호적 따로..., 그렇게도 더러 씁니다)

  • 심심해서 "전각자림"(운림필방)을 찾아봤습니다.

    仁의 가능성은 거의 없고 범凡 아니면 올兀 같습니다.

    현재 디카 밧데리가 다 되어 충전중입니다.  충전되는 대로 사진 올려드리겠습니다.

  • "篆刻字林"(운림필방..., 사실은 일본책 영인본임다)을 기본으로 하고, "甲骨文字典"(사천사서출판사)를 참고하였슴다.

    .

    사진 세로읽기 맨 오른쪽 줄입니다.

    어질 仁은 원뜻이 '두 사람'입니다.  오른쪽 두 二가 말 그대로 '둘'two이라는 말이지요.

    그런데 二로 쓸 때 아래의 一을 구부려 쓴 예가 없네요.  (一이 단독으로 쓰여 하나one 뜻이 아니라 大地earth를 가리킬 때는 구부려 쓰는 게 가능합니다.)   따라서 仁은 제외시킵니다. 

  • 仁 사진 2입니다.
  • 어진사람 인과 우뚝할 올입니다.

    人은 자형이 세 가지 잇습니다.  人이 있구요, 좌변으로 갈 때 인이 있구요, 받침으로 쓸 때 인이 있습니다.

    여기 어진사람 인은 받침으로 쓸 때 人입니다.

    그렇다고 할 때 의문..., 인감 글자 좌변을 인으로 봤으니까 사람이 두 번 들어가는 셈이네요.  이상합니다.  

    아무래도 인감 글자 우측 아래의 두 다리가 떨어졌다고 보는 게 무리인 것 같습니다. 

    떨어졌다면, 어진사람 인 받침으로 보는 게 가능할 것이나, 붙었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하여간, 참고로 사진 올립니다.  사진 두번째는 우뚝할 올의 예서입니다.

  • 凡입니다.

    좌측 두번째 줄입니다.  맨위 글자를 잘 보세요.  점을 빼서 위로 올려 보낸다면 인감 글자와 딱 들어맞지요?

  • 범의 예서체입니다.  맨 아래 글자를 보세요.
  • 어진 사람 인 받침은 아무래도 아닌 거 같습니다.  참고로 갑골문자 올입니다.
  • 갑골문자 범입니다.

    .

    결론,

    아무래도 범 같습니다.  점을 위로 올려 붙이고, 좌변에 사람 인을 붙인 글자....

    ,

    글자 부수 배치를 바꿔 쓰는 일은 흔히 있습니다.  凡의 점을 위로 올려 붙여 쓴 예는 국내출판 한자사전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동아 한한대사전", 동아출판사)

    기존의 글자에 부수를 첨가해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예도 더러 있습니다.  대개 이름 자입니다.

    아기의 사주를 보고 오행, 즉 水 金 土 火 木를 첨가하는 게 보통입니다.

    사람 人을 좌변에 첨가하는 예도 있습니다.

    왕실에서는 예외없이 玉=王을 좌변에 붙입니다. 

    덕분에 저도 공부햇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싶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드디어 복구했습니다. 와일드바이크 심폐소생의 변!39 Bikeholic 2019.10.27 2666
183555 삽질좀 했습니다.5 우현 2010.01.09 1201
183554 와이키의 저렴한 겨울용 방한/방풍 장갑 공구합니다.6 bikeholic 2010.01.08 1562
183553 "농민들엔 평당 250만원, 대기업엔 평당 36만원"1 바보이반 2010.01.08 1198
183552 광활한 중국 사막을 자전거로 횡단한다면....4 싸이코 2010.01.08 1194
183551 왈바식구 모든 분들 혹한기에 워찌 지내시는지..12 보고픈 2010.01.08 1311
183550 윗지방 분들 추운날씨에 고생이 많습니다 ㅋㅋ12 쌀집잔차 2010.01.07 1239
183549 횡설수설 - 과메기 외24 靑竹 2010.01.07 1218
183548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9 하얀미소 2010.01.07 995
한자 잘 아시는분.... 이 글자는 어떻게 읽는지...14 bluebird 2010.01.07 1434
183546 이제는 야인이 되었습니다.^^21 말발굽 2010.01.07 1546
183545 무료 자전거잡지가 새롭게 창간됐네요...^^5 mtbiker 2010.01.07 1496
183544 추운곳으로,,,철원16 산아지랑이 2010.01.06 1088
183543 앞서 풀민님 글에 이어..4 영무 2010.01.06 1131
183542 행복한 시간17 stom(스탐) 2010.01.06 1265
183541 최악의 방송사고..ㅋ3 kuzak 2010.01.05 1645
183540 허브를 심은지 4일만에14 bikeholic 2010.01.05 1236
183539 개정된 도로교통법입니다.10 無窮 2010.01.05 1429
183538 현관키 번호를 잊다10 靑竹 2010.01.05 1935
183537 식사중이신 분 클릭금지... 우리집 화장실^^11 쌀집잔차 2010.01.04 1283
183536 ㅋㅋㅋ 오늘 혹시 이런 상황 겪으신분5 bikeholic 2010.01.04 1345
첨부 (1)
what.jpg
143.3KB / Download 6
위로